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우리말.pn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어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나타나는 교사의 명령하기 헤지 표현에 대한 연구 -한국어 고급 수업을 중심으로-

In Korean real-time online classes A Study on Teacher's Commanding Hedge Expression - Focusing on advanced Korean classes -

  • 85

본 연구에서는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나타난 교사의 명령하기 헤지 표현의 실제 발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코로나19로 인해 실시간 온라인 수업이 증가하면서 일반 대면 수업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던 다양한 양상이 생겨났다. 그중 하나가 비언어적 소통의 방법이 비대면 수업으로 인해 어려워졌다는 것이고 또 하나는 교사가 학습자에게 명령·지시를 할 때 학습자의 체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가 더욱 필요하다는 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교사가 학습자에게 어떠한 표현으로 명령하기를 수행하는지 교사 발화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 한국어 수업에서는 ‘-(으)세요’, ‘-지 마세요’, ‘-(으)십시오’ 등이 명령 표현으로 제시되지만 실제 한국어 수업에서는 이 문형 외에도 화용적으로 명령의 의미를 지니는 문형이 나타난다는 것을 교사의 발화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수업 분석 결과 한국어 수업이라는 특성, 교사와 학습자라는 관계라는 특성으로 인해 강하게 명령하는 헤지 표현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고 한국어 수업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발화 양상도 있었다. 바로 학습자의 말을 직접 인용하여 명령하기를 수행하는 것인데, 이는 어려운 문형을 피하여 발화하고자 하는 교사의 습관이 남아 있는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었다. 학습자는 교사의 발화를 모방하며 한국어를 학습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교사는 다양한 명령하기 헤지 표현을 구사하여 학습자의 실제 한국어 발화 시 화용적 실패를 겪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한국어 교재 및 수업 자료에 활용한다면 한국어 학습자들의 실제 발화에 도움이 되리라 본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ctual speech patterns of teachers' commanding hedge expressions in real-time online classes in Korean for advanced learners. As real-time online classes have increased due to COVID-19, various aspects that have not appeared in general face-to-face classes have emerged. One of them is that more attention is needed so that the face of the learner is not damaged when the teacher orders or instructs them. Therefore, in this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teachers‘ speech, I examined how teachers perform commands to learners in real-time online classes in Korean language. In the actual Korean class, a sentence type that has the meaning of command pragmatically appears. As a result of the class analysis, strong commanding hedging expressions rarely appear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cla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and there were speech patterns that appeared because it was a Korean class. The command is given by quoting the learner's words directly, and it can be assumed that this remains the teacher's habit of trying to avoid difficult sentence patterns when speaking. Since learners tend to learn Korean by imitating the teacher's speech, teachers should use various command hedge expressions to avoid pragmatic failures when learners actually speak Korean. If the research results are used for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class materials, it will be helpful for Korean learners' actual utterances.

1. 들어가기

2. 선행 연구 검토

3. 연구 방법 및 절차

4. 한국어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나타나는 교사의 한국어 명령하기 헤지 표현의 유형

5. 마무리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