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대학의 한국어 학습자들이 쓰기에서 활용하는 온라인 도구에 대한 사용 양상과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한국어 학습자들은 쓰기 과제를 수행하며 기계번역과 온라인 사전을 주로 사용하고 있었다. 온라인 도구 만족도는 집단 간 차이가 없었으나, 편의성의 경우 국외 학습자가 더 크게 만족하고 있었다. 둘째, 학습자들은 새로운 기술이나 앱 사용에 개방적이고 익숙할수록 온라인 도구 사용에 만족했다. 셋째, 기계번역이나 생성형 AI에 만족하는 정도는 집단 간 차이가 없었으나 기계번역의 계속 사용 의향에 있어서 국외 학습자들의 의향이 더 높았다. 본 연구는 다각적인 차원에서 학습자들의 온라인 도구 사용 실태와 두 집단 간의 차이를 파악하고, 효율적인 온라인 도구의 활용법을 지도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and utilization of online tools in writing by Korean language learners. A survey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sking learners about their attitudes towards writing, the online tools they use, their purposes for using these tools, and their satisfaction levels. The survey received 100 responses, with 50 learners studying in Korea and 50 studying in the U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primarily use machine translators to look up the words and expressions. While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tudent groups studying in Korea and the US, students in the US reported higher satisfaction levels with tool accessibility. Additionally, learners who were more open to trying new technologies were more satisfied with using online tools in their writing. Lastly, satisfaction levels in using machine translators or generative AIs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tudent groups, but students in the US expressed a higher willingness to continue using these tool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field by analyzing learners’ use of online tools and highlighting the growing need to integrate these tools in future classrooms.
1. 서론
2.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검토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