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자유표시구역 디지털 사이니지의 공공성 요인 탐색

Exploring the Publicness Factors of Digital Signage in Free OOH Advertising Zone

  • 0
ooh.JPG

자유표시구역의 디지털 사이니지는 공공성을 확보하기 위해 최소한의 법적 요건(예: 공공 콘텐츠 비율 30%)을 준수해야 하지만, 공공성이 구체적으로 어떤 의미인지는 법적으로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아서 실질적인 구현 방안이 불분명한 상황이다. 이는 공공성의 개념이 다의적이고, 사회적·문화적 맥락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자유표시구역 디지털 사이니지 공공성 확보를 위한 고려요인들을 포괄적으로 탐색하고, 주요 고려 요인들에 대한 비중을 구체적으로 계량화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1차적으로 문헌 연구를 진행하여 자유표시구역 디지털 사이니지 공공성 확보를 위한 고려요인들을 추출하고, 2차적으로 디지털 사이니지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공공성 확보 고려요인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자유표시구역 디지털 사이니지 공공성 확보를 위한 고려 요인으로 콘텐츠 유용성(24.90%), 콘텐츠 다양성(12.52%), 콘텐츠 시의성(12.41%), 콘텐츠-이용자 관심사 일치성(8.03%), 상징성(6.75%) 등의 순서로 상대적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연구 결과는 자유표시구역 디지털 사이니지의 공공성을 확보하는 전략에 대한 이론적 프레임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실무적인 측면에서 디지털 사이니지의 공공성을 평가하고 검증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areas designated as free display zones for digital signage, there are legal regulations requiring the main-tenance of public interest, but the legal concept of public interest is not concretely defined, leading to a lack of clear guidelines for implementation. Based on this recognition of the problem, 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explore the factors to consider in securing the public interest of digital signage in free display zones, and to specifically quantify the importance of these key factors. Initially,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extract the factors to consider for securing the public interest of digital signage in free display zones. Subsequently, a survey was carried out among 20 digital signage experts to determin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se factors for securing the public interest. The research findings revealed that content usefulness (24.90%), content diversity (12.52%), content timeliness (12.41%), alignment of content with user interests (8.03%), and symbolism (6.75%) are the factors with the highest relative importance for securing the public interest of digital signage in free display zones. These results not only provide a theoretical framework for research on strategies to secure the public interest of digital signage in free display zones but also are expected to be applied and va-lidated in practice for evaluating the public interest of digital signage.

Ⅰ. 서론

Ⅱ. 문헌 연구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함의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