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png
학술저널

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의 주관적 건강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분석: 자녀의 장애유형 차이를 중심으로

Mediation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i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Differences in the Types of Disabilities

  • 5

본 연구는 장애 자녀를 둔 부모의 주관적 건강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우울증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자녀의 장애 유형에 따라 부모 그룹 간에 차이가 있는지 추가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장애인개발원의 장애인삶 패널조사의 4차년도 자료 중 장애아동 부모 1,9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체 대상 중 신체적 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는 1,234명, 정신적 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는 680명이다. 독립변수는 주관적 건강수준, 종속변수는 삶의 만족도, 매개변수는 우울, 통제변수는 성별, 연령, 자녀의 장애유형, 자녀의 장애정도를 적용하였다. 주요 변수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주관적 건강 및 삶의 만족도는 정신적 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보다 신체적 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가 더 높았고,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우울은 정신적 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가 더 높았지만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주관적 건강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우울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두 그룹의 장애 자녀 부모 모두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신적 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에 있어 그 매개효과가 신체적 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보다 더 높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의 정신적 안녕을 지원하기 위한 사회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책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among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t also explored whether differences exist between groups of parents based on their child’s disability type. The study used a sample of 1,914 parents from the fourth year of the Disability and Life Dynamics Panel, including 1,234 parents of childr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680 parents of children with mental disabilities.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subjective health, the dependent variable was life satisfaction, the mediator was depression, and the control variables were sex, age, type of disability, and level of disability. Disabilities were categorized as either physical or mental. Analysis showed that subjective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among parents of childr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Although depression was higher among parents of children with mental disabilities,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ediation model tests indicated that the models were significant for both groups of parents. However, parents of children with mental disabilities were more likely to be affected by depression. The results provide a policy basis for offering social services to support the mental wellbeing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