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근래 70대 이상의 인구가 20대 인구를 추월할 정도로 인구 고령화 현상이 빠르게 전개되고 있다. 고령화 현상으로 인해 여러 가지 사회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고령자가 연루된 범죄의 증가이다. 이는 경찰도 고령화 사회에 적절한 치안 대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하여 여론의 추이를 점검하였다. 그 점검을 위한 분석 대상은 ‘노인 범죄’ 키워드를 포함하는 2004년부터 2023년까지 네이버 뉴스 기사와 댓글 자료였다. 자료의 분석은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사용하여 고령자 범죄에 대한 언론과 대중의 시각 변화를 찾는 것 그리고 이를 통해 고령자 관련 범죄 대응 정책에 대한 대중의 관점을 파악하는 것이었다. 분석 결과, 언론이나 대중은 고령자 범죄의 증가와 이에 대한 대응 전략에 꾸준한 관심을 보이고 있었다. 예를 들면, 그 범죄에 관한 정부나 경찰의 대응 방안 그리고 범죄 예방을 위한 사회복지 제도에 관한 관심이 줄어들지 않았다. 한편 대중은 고령자가 저지른 범죄에 대해서는 범죄의 유형이나 나이에 상관없이 엄격한 처벌을 요구하고 있었다. 본 연구자들은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고령자 관련 범죄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경찰조직 내 고령자 안전 전담 부서 신설 그리고 인구소멸 지역에서의 경찰 활동 강화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고령자 관련 범죄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텍스트 마이닝 기법으로 밝히면서 실천이 가능한 고령자 관련 범죄 대응 정책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In Korea, population aging is progressing rapidly, with the population in their 70s and older surpassing that in their 20s. The aging trend has caused a number of social problems, and one of them would be the increase in crimes involving the older adults. This situation indicates that the police also should establish appropriate security measures for the hyper-aged society, and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recent trends in public opinion. The analysis target for the examination was Naver news article and reader’s commentary data containing the keyword ‘crime and/or older adults’ from 2004 to 2023. Utilizing text mining techniques, the data analyses were to identify any changes in the media and public’ perspectives on crimes involving older adults as well as to ascertain the public’s views on policies for addressing the crimes. As a result of data analyses, it was found that both the media and public consistently showed interest in the increase of crimes involving older adults and its corresponding countermeasures. For instance, the interest in the government and police’s response to crime and the social welfare system for crime prevention was not decreasing. Meanwhile, the public demanded strict punishment for crimes committed by older adults, regardless of the type of crime or the offender’s age. Based on the findings, the current researchers proposed to establish a department in charge of the safety for the older adults within the police organization and to strengthen police activities in depopulated rural areas as countermeasures to the increase in crimes involving older adul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hat it used text mining techniques to elucidate various perspectives on crimes involving older adults and suggest practical policies for addressing the crimes.
Ⅰ. 서론
Ⅱ. 방법
Ⅲ. 결과 및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