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가상현실 미술치료의 치료적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난 10년간(2014-2024) 출판된 KCI 등재 국내 학술논문과 SCOPUS 및 SSCI 등재 국외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VR 미술치료에 관한 질적 연구를 조사하였다. 포함 기준을 충족한 6편(2020-2023)의 논문을 선정하여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에는 표현치료연속체(ETC) 틀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VR 미술치료에서는 ETC의 구성요소 중 동적, 지각적, 인지적 구성요소에 기반한 치료적 요인이 활발하게 나타났다. 반면, 정서적, 상징적 구성요소 기반의 치료적 요인은 덜 두드러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VR 미술치료의 치료적 요인이 미술치료 실천과 향후 방향성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VR 미술치료 관련 개별 질적 결과를 체계적으로 종합 및 비교 분석하여 ETC 틀 내에서 치료적 요인을 통합하고, 임상 현장에서의 실제 적용과 향후 연구를 위한 기초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therapeutic factors in Virtual Reality (VR) art therapy. We conducted a qual-itative meta-analysis of primary studies on VR art therapy published over the past 10 years (2014-2024), sourced from the KCI, Scopus, and SSCI databases. Six qualitative studies that met our inclusion criteria, published between 2020 and 2023, were analyzed using the Expressive Therapies Continuum (ETC) framework. The analysis revealed that VR art therapy actively utilizes therapeutic factors associated with the kinesthetic, perceptual, and cognitive components of the ETC, while factors related to the affective and symbolic components were less evident. These findings allow us to discuss the implications for art therapy practice and future directions, highlighting the therapeutic factors in VR art therap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systematic synthesis and comparative analysis of qualitative findings from existing VR art therapy research. This approach integrates therapeutic factors within the ETC framework and provides a foundation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VR art therapy in clinical settings and future research.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