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조형.png
KCI등재 학술저널

학교 공동체 문화 형성을 위한 미술 표현 결과의 공유와 소통 방안

Sharing and Communication Method of Expression Results in Art Education for Building School Communities and New Cultures

  • 22

본 연구는 학교 공동체 문화 형성을 위한 방안으로 학교 구성원인 학생이 제작한 작품을 공유와 소통의 대상으로 선정하여 그 방법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인류의 삶과 예술을 통한 공유와 소통의 의미를 탐색하고, 2022 개정 교육과정 속 공동체 문화 형성과 공유와 소통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공유와 소통의 특성에 맞춰 학습 영역과 내용을 탐구하고, 일정한 체계가 있는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방법의 효과성을 높이는 다양한 플랫폼 활용 방안을 사례로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현행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공동체 문화 형성을 위한 한 가지 방안으로 공유와 소통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는 점, ‘표현-공유와 소통-확장 주제 활동’이라는 프로세스를 통해 방안의 체계성을 구성하였다는 점, 현시대의 기술과 학교 환경을 고려하여 효율성 높은 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학교 미술교육의 시의성 있는 변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discusses how to form a school community culture by selecting the works produced by students, who are members of the school, as targets for sharing and communication. To do so, this study first ex-plored the meaning of sharing and communication through human life and art,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sharing and communication and the formation of community culture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hrough this, this study explored the learning areas and conten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har-ing and communication, and proposed a method based on a systematic process.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ed examples of how to utilize various platform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method. As a result,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imely changes in school art education in that it proposed the use of sharing and communication as a way to form a community culture based on the current curricu-lum, organized the systematicity of the method through the process of 'expression-sharing & communica-tion-expansion theme activities,' and proposed the use of highly efficient platforms in consideration of cur-rent technology and school environment.

I. 서론

Ⅱ. 교육과정에서의 공동체 문화와 공유와 소통

Ⅲ. 미술 표현 결과의 공유와 소통의 의미와 방법

Ⅳ. 다양한 플랫폼을 활용한 미술표현 결과의 공유와 소통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