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정신건강.pn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2030 남성의 성평등 정책 지지와 관련된 심리학적 변수에 대한 연구: 공정성과 성차별주의를 중심으로

A study on psychological variables predicting 2030 Korean men's support for gendered policies: Focusing on fairness and sexism

  • 76

본 연구는 한국 2030 남성들의 성평등 정책 지지와 관련된 심리학적 변수를 조사하고 이를 통해 2030 남성들의 성평등 정책 반대에 대한 기존의 이론적 입장이 가지는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기존에 2030 남성들의 성평등 정책 반대는 2030 남성들에게 내면화된 성차별주의 신념이나 자신의 기득권을 빼앗겼다는 박탈감에서 유래했다고 여겨졌다(성차별 가설). 그러나 최근에는 성평등 정책이 2030 남성들에게 내면화된 능력주의적 공정에 위배되기 때문에 반대한다는 설명이 대두되었다(공정성 가설). 본 연구는 두 가설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110명의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회귀분석을 통해 설문을 통해 측정한 공정성 관련 변수와 성차별 관련 변수가 실제 사회에서 논의되는 성평등 정책 지지를 예측하는지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형평 원리는 여성부 폐지, 군가산점 지급, 여성징병제 실시 등 여성에게 주는 특혜를 폐지하거나 남성에게 특혜를 주는 반여성 정책에 대한 지지를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나, 여성할당제, 성인지교육 의무화, 여성특화 지원제도 등 여성을 우대하는 친여성 정책에 대한 지지는 유의하게 예측하지 못했다. 성차별주의 신념 중 적대적 성차별주의는 친여성 정책 지지를 부적으로, 반여성 정책 지지를 정적으로 예측하였고, 반면 남성성 규범은 반대의 경향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공정성 가설과 성차별 가설을 모두 부분적으로만 지지하였다. 논의에서는 본 연구결과를 해석하고 2030 남성들의 성평등 정책 반대에 대한 대안적 설명을 시도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psychological variables related to support for gendered policies among Korean men in their 20s and 30s(2030 men), and examined the validity of existing theoretical positions on opposition to gendered policies among 2030 men. Previously, it was believed that 2030 men's opposition to gendered policies was due to the sexist beliefs of 2030 men or their sense of deprivation that their privilege was taken away(gender discrimination hypothesis). However, recently, the explanation that the gendered policy is opposed because it runs counter to the meritocratic fairness internalized by 2030 men emerged(fairness hypothesis) had been presented. This study surveyed 110 2030 men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two hypotheses. Through regression analysis, we examined whether fairness-related variables and sexism-related variables predict support for gendered policies in Korean society. At result, the equity principle positively predicted support for anti-women policies that eliminated affirmative treatment for women or gave affirmative treatment to men(e.g. elimination of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military service extra-points system, and female conscription), but not the prowomen policies that gave affirmative action for women(e.g, affirmative action for women employment, mandatory gender perspective education and women-specific support systems). Among sexist beliefs, hostile sexism negatively predicted support for pro-women policies and positively predicted support for anti-women policies. On the other hand, masculinity norms showed the opposite tendency. These results only partially supported both the fairness hypothesis and the gender discrimination hypothesi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tudied 2030 men's support for gendered policies discussed in Korean society instead of abstract sexist beliefs. In discu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interpreted and an alternative explanation for 2030 men's opposition to gender equality policies was attempted.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 과

Ⅴ. 논 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