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계 서비스 지불제 도입 후 조류 먹이원 분석 및 관리 방안: 고양 장항습지를 대상으로
The Analysis of Avian Feed Source and Management Direction after the Introduction of Payments for Ecosystem Services: A Case Study of Janghang Wetland in Goyang
생태계를 보호하고 생태계적 가치를 증진하기 위해 생태계서비스지불제(Payment for Ecosystem Services, PES)가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PES 시행과 정책의 효과적인 실행을 위해 필요한 생태계 모니터링과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장항습지에서 시행 중인 PES의 효과를 분석하여 서식지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때 이동성 조류 모니터링과 주요 종의 먹이원을 분석하였다. 장항습지에서 관찰된 우점 조류로는 괭이갈매기, 청둥오리, 쇠기러기 등이 있으며, 이들의 주요 먹이원은 참새귀리, 개보리 등의 벼과 식물과 속속이풀 등 십자화과 식물로 분석되었다. 또한 PES를 통해 장항습지 내에서 볍씨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재두루미, 큰기러기, 쇠기러기 등의 조류가 이를 이용하고 있다는 결과가 관찰되었다. 장항습지의 지속 가능한 관리를 위해 먹이 공급 시스템 개선과 재두루미 및 기러기류(큰기러기, 쇠기러기)에 대한 분산 공급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때, 농업 및 개발 지역과의 경계를 관리하여 생태적 연결성을 강화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동성 조류의 서식지로서 장항 습지의 생태적 중요성을 재확인하였다. 또한, 이들 결과는 향후 정책 수립과 지속 가능한 보전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의의를 갖는다.
Payment for Ecosystem Services (PES) is emphasized to enhance ecosystem conservation and increase its ecological value. Howeve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PES and policy execution requires insufficient ecosystem monitoring and research.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PES implemented in Janghang Wetland to propose habitat management strategies. The study included monitoring migratory birds and analyzing key species' food sources. The dominant avian species observed in Janghang Wetland include Larus crassirostris, Anas platyrhynchos, Anser albifrons with their primary food sources analyzed as Gramineae plants such as Bromus japonicus, Elymus sibiricus, Brassicaceae plants such as Rorippa palustris. Furthermore, this study found that PES facilitates rice seed supply within Janghang Wetland, benefiting birds including Grus vipio, Anser fabalis, A. albifrons. To sustainable manage Janghang Wetland, improving food supply systems and exploring decentralized supply methods for G. vipio and Gooses (Anser fabalis, A. albifrons) are necessary. Additionally, managing boundaries between agricultural and developmental areas to improve ecological connectivity is essential. This study reaffirmed the ecological importance of Janghang Wetland as a crucial habitat for migratory species. The result will be significant as foundational data that can be used for future policy-making and support sustainable conservation efforts.
1. 서 론
2. 연구범위 및 방법
3. 결과
4. 고찰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