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매어르신 가족돌봄 지원방안 마련을 위한 질적 연구 -제주지역 가정 내 가족돌봄자 대상을 중심으로-
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Support of Family Care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Focusing on family caregivers at home in Jeju area-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서 가정 내 가족돌봄이 이루어지고 있는 치매어르신 가족에 대한 돌봄 경험을 토대로 돌봄 실태와 욕구를 파악하여 효과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3년 7월 27일부터 29일까지 치매어르신을 돌보고 있는 가족돌봄자 20명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3개 상위범주, 22개 하위범주를 도출하였고. 도출된 범주는 가정에서 돌보게 된 이유, 가족돌봄 실태, 가족돌봄에 필요한 서비스와 정책 총 3개이다. 하위범주는 ‘가정에서 돌보게 된 이유’에서 시설의 거부로 인해 가정에서 돌봄 등 3개, ‘가족돌봄의 실태’에서는 가정에서 돌보면서 겪은 위기(대소변 등 기본적인 위생 문제 해결 어려움), 가족돌봄의 긍정적인 면(치매어르신의 정서적 안정과 돌봄자의 자부심 등), 치매어르신 돌봄관련 정보(돌봄자가 개별적으로 돌봄관련 정보를 얻고 있음 등) 등 11개, ‘가족돌봄에 필요한 서비스와 정책’에서는 가족돌봄 경감 해소를 위한 서비스와 정책(가족요양급여시간 확대 희망 등)과 치매어르신 가족돌봄관련 지원 확대(돌봄 노고 인정과 돌봄자 휴가, 밑반찬서비스, 심리지원프로그램 등 돌봄자를 위한 복지서비스 제공) 등 8개로 총 22개 내용이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가족돌봄을 중심으로 치매어르신 돌봄 지원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effective support measures based on the caregiving experiences of families caring for dementia patients in the local community. To achieve this, a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with 20 families caring for dementia patients from July 27th to 29th, 2023. The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From the FGI analysis, three top-level categories and 22 sub-categories were identified. The categories include reasons for caregiving at home, realities of family caregiving, and necessary services and policies for family caregiving. Sub-categories under “reasons for caregiving at home” include caregiving at home due to facility refusal, among others. Under “realities of family caregiving,” sub-categories encompass crises experienced while caregiving at home (such as difficulties in addressing basic hygiene issues like urinary and fecal incontinence), positive aspects of family caregiving (such as the emotional stability of dementia patients and caregiver pride), and dementia patient caregiving-related information (such as caregivers seeking individual caregiving-related information). Under “necessary services and policies for family caregiving,” sub-categories include services and policies to alleviate family caregiving burdens (such as the desire for an expansion of family care allowance hours) and expansion of support for dementia patient family caregiving (such as recognition of caregiving efforts, caregiver leave, side dish services, provision of welfare services for caregivers like psychological support programs). In light of the research findings, recommendations for support measures focusing on family caregiving for dementia patients are proposed.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