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탐색함으로써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를 증진하기 위한 정책 수립의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장애인개발원의 장애인삶 패널조사(Disability and Life Dynamics Panel) 4차(2021년) 조사에 참여한 장애인 4,254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은 랜덤포레스트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하였고 분석에 투입된 설명변수는 인구학적 요인 8개, 신체건강적 요인 19개, 경제적 요인 7개, 사회문화적 요인 42개, 심리정서적 요인 12개로 총 88개가 사용되었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가장 중요도가 높은 요인은 심리정서적 요인에 해당하는 장애가 삶에 미치는 주관적 영향으로 나타났으며, 장애가 자신의 삶에 미치는 영향이 긍정적이라고 여길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상위 20개 설명변수에는 인구학적 요인은 포함되지 않았고, 신체건강적 요인 2개, 경제적 요인 4개, 사회문화적 요인 8개, 심리정서적 요인이 6개로 나타나 사회문화적 요인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셋째, 영역별 투입된 설명변수 수 대비 가장 높은 비율로 상위 20개 설명변수에 포함된 요인은 경제적 요인으로 경제적 어려움, 월 평균 가구 소득, 월 평균 가구 생활비, 장애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이 포함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결론과 논의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on how to establish policies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by exploring major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data from 4,254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the 4th (2021) survey of Disability and Life Dynamics Panel of Korea Disabled people’s Development Institute were used for analysis. The random forest machine learning technique was used, and a total of 88 explanatory variables were put in for the analysis, including 8 demographic factors, 19 physical health factors, 7 economic factors, 42 socio-cultural factors, and 12 psychological factor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the subjective effect of disability on life, a psychological factor. And it was found that the more positively thinking about the effect of disability on one’s life, the higher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top 20 explanatory variables did not include demographic factors, and socio-cultural factors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with two physical health factors, four economic factors, eight socio-cultural factors, and six psychological factors. Third, of the seven economic factors put in, four economic factors were included in the top 20 explanatory variables, which were economic difficulties,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average monthly household living expenses, and effect of disability on employment. Conclusions and discussions based on the results were presented.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