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Indonesia often lacks a thorough, student-centered approach. In contrast, Germany has long used didactic methods to teach music effectively to children. This article presents a qualitative case study comparing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in Indonesia and German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direct observations in three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two German experts i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re are different cross-cultural experiences of music learning in Indonesia and Germany in terms of cultural context, music education system, technical approach, community performance and collaboration. Seen from its characteristics, music education didactical learning approach is suitable and promising to be implemented in Indonesia. Furthermore, it is evident there is a need to balance teacher-centered and students-centered learning, in order to better address students' individual needs while maintaining the crucial role of teachers. Exploring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methods in Germany can inspire educators and policymakers in Indonesia to develop a more diverse and inclusive approach to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This approach should integrate children's needs and interests and support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various abilities.
인도네시아의 유아 음악 교육은 학생 중심의 접근 방식이 부족한 반면, 독일은 오랫동안 유아들에게 효과적으로 음악을 가르치기 위해 교훈적 방법을 사용해 왔다. 이 논문은 인도네시아와 독일의 유아 음악 교육을 비교하는 질적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데이터는 세 개의 교육 기관에서의 직접 관찰과 유아 음악 교육에 관한 두 명의 독일 전문가와의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통해 수집되었다. 연구 결과, 인도네시아와 독일의 음악 학습에 있어 문화적 맥락, 음악 교육 시스템, 기술적 접근, 지역사회 공연 및 협력 측면에서 서로 다른 문화 간 경험이 드러났다. 이러한 특성을 고려할 때, 음악 교육의 교훈적 학습 접근 방식은 인도네시아에서 도입 및 적용할 수 있는 유망한 방법으로 보인다. 더 나아가, 학생 개개인의 필요를 더 잘 충족시키면서도 교사의 중요한 역할을 유지하기 위해 교사 중심 학습과 학생 중심 학습의 균형이 필요하다. 독일의 유아 음악 교육 방법을 탐구함으로써 인도네시아의 교육자와 정책 입안자들은 보다 다양하고 포괄적인 유아 음악 교육 접근 방식을 개발하고, 어린이의 필요와 관심사를 통합하고, 창의성과 다양한 능력의 발전을 지원해야 할 것이다.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
Ⅳ. Results
Ⅴ. Discussion & Conclu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