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음악교육.png
SCOPUS 학술저널

초등학교 통합교육과정 ‘즐거운 생활’에서의 음악교육에 관한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Music Education in ‘Pleasant life’ in the Integrated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DOI : 10.30775/KMES.53.3.115
  • 89

본 연구는 현행 초등학교 1~2학년 통합교과 교육과정 ‘즐거운 생활’에 편성된 음악과의 교육 실태 분석과 이에 대한 사회구성원들의 인식 조사를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문헌연구는 초등학년 저학년 음악교육의 중요성과 통합교과 교육과정 ‘즐거운 생활’의 변천 과정 및 교과 내용을 분석하였고, 설문조사는 4개의 주요 항목을 중심으로 총 9개의 설문 문항을 개발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설문문항은 예비조사연구를 통해 적절성과 타당성을 검토한 후, 외부 전문가 자문을 적용하여 최종 문항을 선정하였다. 설문조사는 온라인 사회관계망 서비스를 활용하여 1,179명의 설문 응답 결과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 ‘즐거운 생활’은 음악과의 교육목적과 내용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 않으며, 초등학교 3학년 이후 음악 교과와의 연계성도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교 저학년의 바람직한 음악적 발달과 학습을 위해서 ‘즐거운 생활’에서 음악과를 분리하여 교과 시간과 활동 내용의 확장이 필요하다. 또한, 위계 따른 음악 교과 내용과 정서 및 인성 교육을 포괄하는 학습 내용 구성으로 삶에서 음악을 즐길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 학습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atus of music education in the current integrated curriculum called ‘Pleasant life’ for 1st and 2n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s well as to assess the community's perception of it. The literature review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music education in the early elementary school years, the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Pleasant life,’ and the curriculum's contents. A total of 9 questionnaire items centered on four main areas were created and assessed for appropriateness and validity through a ploit study and external expert advice. Researchers analyzed 1,179 questionnaire responses collected through online social network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integrated curriculum ‘Pleasant life’ did not adequately include the educational purpose and content of music educations, with a noticeable decrease in connection to the music subject after 3rd grade. This study recommends separating the music subject from ‘Pleasant life’ for better musical development in younger elementary school grades. It also advocates for increased subject time and activity content, and the promotion of an appreciation for music through a curriculum that integrates emotion and character education.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이론적 배경

Ⅳ. 설문 조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