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음악교육.png
SCOPUS 학술저널

초등학교 1~2학년 통합교과 교육과정 ‘즐거운 생활’의 국악 내용 고찰

A Study o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Content in the Integrated Curriculum of “Pleasant Life” for 1st and 2n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DOI : 10.30775/KMES.53.3.135
  • 100

본 연구는 초등학교 1~2학년 통합교과 교육과정인 ‘즐거운 생활’에서 국악 내용의 변천 과정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즐거운 생활’이라는 책명으로 편찬된 제4차 교육과정부터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와 통합교과 교육과정이 시행된 2009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시기로 구분하여 교과서에 수록된 국악 내용의 변천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부터 통합단원이 시작되면서 장르의 다양성이 축소되었고, 내용의 체계성과 구체성 또한 노래와 놀이에 편중되면서 단순화되었다. 2009 개정 교육과정 이후 통합교과의 도입으로 인해 이러한 현상은 더욱 가속화하여 장르는 전래동요와 창작국악동요로 축소되었고, 활동은 가창과 놀이에 편중되었으며, 내용은 음악교과와 연계성을 고려하지 않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주제별 교과서라는 한계가 국악교육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제한하고 초등학교 3학년부터 시작되는 음악교과의 체계성을 훼손하는 것이다. 이는 국악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즐거운 생활’에서 음악 교과의 독립 필요성을 제기하는 근거로 작용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evolu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content in the “Pleasant Life” curriculum for 1st and 2n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analysis spans from the 4th national curriculum to the 2007, 2009, and 2015 revisions, during which integrated subjects were introduced. The findings indicate that since the 2007 curriculum revision, the start of integrated units led to a reduction in the diversity of genres, as well as a simplification of content, which became heavily focused on songs and games. This trend accelerate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integrated subject curriculum in the 2009 revision, further narrowing the genres to traditional and newly created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with activities centered on singing and playing games. Additionally, the content increasingly failed to consider the connection with the music subject, leading to issues such as a lack of diversity and creativity i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d the disruption of the systematic progression of music education starting in 3rd grade. These limitations of the theme-based textbooks highlight the need for an independent music subject within the “Pleasant Life” curriculum to enhance the qualit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Ⅰ. 머리말

Ⅱ. 제4차 교육과정부터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즐거운 생활’ 내 국악 내용 통시적 고찰

Ⅲ. 2009 개정 교육과정 및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교과 ‘즐거운 생활’의 국악 내용 고찰

Ⅳ. 맺음말: 통합교과 교육과정 ‘즐거운 생활’에서 음악 교과의 독립 당위성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