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음악교육.png
SCOPUS 학술저널

오케스트라 활동이 중학생의 폭력성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rchestral Activity on the Violence and Depression of Middle Schoolers

DOI : 10.30775/KMES.53.3.167
  • 60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S 중학교 학생 중, 오케스트라 활동을 하는 그룹과 어떠한 음악활동도 하지 않는 그룹을 대상(n=126)으로 오케스트라 활동이 중학생들의 폭력성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 중학교에서 오케스트라를 운영하고 있는 학교들을 중심으로 연구 참여 의사를 의뢰한 결과, 참여를 허락해 준 S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오케스트라 그룹과 음악활동을 하지 않는 일반그룹으로 나누어 폭력성과 우울감 정도를 측정⋅비교하였다. 모든 연구는 사전에 학교와 학부모, 그리고 학생들의 동의를 얻어 연구자가 직접 학교를 방문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케스트라 활동을 하는 그룹이 어떠한 음악활동도 하지 않는 그룹에 비해 폭력성(t=-3.92, p>0.5)과 우울감(t=-3.34, p>0.5)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들의 폭력성과 우울감에는 강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53). 셋째, 오케스트라 활동에 대한 단원들의 만족도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케스트라 활동의 긍정적 효과로 ‘스트레스 해소’나 ‘정서적 안정’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연주가 좋아서’, ‘음악적 능력 향상’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effect of orchestra activities on violence and depression among the students at S Middle School in the Gyeonggi area, comparing a group that participates in orchestra activities(n=74) and a group that does not engage in any musical activities (n=52). To select participants, we asked middle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area to participate in the study, focusing on schools that operate orchestras. As a result, S Middle School agreed to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every study procedure was conducted by the researcher by visiting the school in person with the consent of the school, parents, and students in adv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performing orchestral activities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violence (t=-3.92, p>0.5) and depression (t=-3.34, p>0.5) than the group not engaging in any musical activities. Second,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violence and depress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r=.53). Third, participants pointed out that the satisfaction level of orchestra was high, and ‘stress relief’ and ‘emotional stability’ were the most effective results of the orchestra's activities, followed by ‘enjoying performance’ and ‘improving musical ability’.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