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음악 교사가 퇴직을 어떻게 준비 및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음악교사의 퇴직준비교육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전국의 45세 이상 음악 교사 1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후 기술통계 및 t-test, one-way ANOVA 분석을 실시한 결과, 퇴직 인식은 대부분 보통 이상의 평균 점수를 나타냈으나 구체적인 퇴직 계획 실천 문항에서 평균 이하의 낮은 점수를 보였다. 이어 퇴직준비교육에 대한 요구는 상당수 높은 점수로 나타나며 특히 50대 초반의 연령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퇴직인식은 남성의 점수가 높은 반면 퇴직준비교육 요구 점수는 여성이 높았다. 한편 음악교사들은 퇴직 이후의 삶에서도 자신의 경력을 계속해서 살리기를 희망하지만 퇴직준비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으로는 퇴직 후 맞이할 수 있는 실질적 문제에 대한 것을 더 필요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음악 교사의 퇴직 및 퇴직준비교육에 대한 방안이 구체적으로 논의되기를 희망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music teachers prepare and perceive retirement and to understand the demands for retirement preparation education.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after a survey of 102 music teachers nationwide, and the average score of each question, gender, and age group were analyzed. The perception of retirement was above average score(3.0) in most of the questions. However, on the question about how well the specific retirement plan was practiced, it showed below average score. The needs for retirement preparation education showed high score from most of the surveyee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gender differences, men's scores were high in retirement perception, while women's scores for retirement preparation education were high. On the other hand, music teachers hope to continue to revive their careers in life after retirement, but the content of the retirement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required more practical problems that could be encountered after retir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hope that specific strategies for retirement and retirement preparation education for music teachers will be discuss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