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동국.png
KCI등재 학술저널

한암(閑庵) 보환(普幻)의 행적과 서산 개심사 아미타여래좌상의 수보 배경

On Hanam Bohwan Related Records and His Influence on the Repair of the Amitabha Statue in Gaesim-sa

DOI : 10.22912/dgsh.2024..80.5
  • 21

이 글에서는 개심사 아미타여래좌상 불복장에서 수습된 문자자료와 보환이 편찬한 『수능엄경환해산보기』 서문ㆍ발문ㆍ지문의 내용을 토대로 고려후기 『능엄경』의 대표적 학승이었던 한암 보환의 행적과 개심사 아미타여래좌상 수보에서 그의 역할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보환은 13세기초에 출생한 것으로 보이며 젊어서 『능엄경』을 공부하였고, 이후 여러 생에 걸쳐 『능엄경』을 연구할 것을 서원하는 <홍전수능엄경발원문>(1257년)과 여러 사람들에게 함께 불법을 공부하고 수행하여 깨우침을 얻은 후 이를 세 상에 가르침을 펴자고 권유하는 <구결도우문>(1264년)을 지었다. 그리고 1265년에 노산현의 귀로암에서 『능엄경』을 강의하고, 그 강의 내용을 바탕으로 기존 주석서들의 오류를 바로잡은 『산보기』를 편찬하였다. 이와 함께 『능엄경』의 과문을 새롭게 정리한 『(능엄경)신과』도 편찬하였다. 그후 1276년 합천 몽계사에서 열린 능업법회의 주맹을 맡은 다음 호주(=서산) 개심사로 옮겨 지냈는데, 이 시기에 석가여래와 약사여래, 아미타여래 및 관음ㆍ대세지 두 보살을 염불하여 깨달음을 추구할 것을 촉구하는 <권념삼불이보살발원문>을 작성하였다. 1278년에는 충렬왕의 초청으로 왕궁에서 설법하였고 그 직후에는 원나라 수도에 가는 국왕의 안녕을 빌기 위해 개최된 능업법회의 주맹을 맡게 되었다. 충렬왕은 1279년 원에서 무사히 돌아온 후 보환의 『산보기』를 경상수보도감에서 간행하게 하였고, 그 연장선상에서 1280년 보환이 머물고 있던 개심사의 아미타좌상이 승재색의 주관으로 수보되었다. 아미타여래좌상에 들어 있는 보환이 작성한 두 통의 발원문에는 경상수보도감 과 승재색의 관원들을 비롯한 수백 명의 동참자들이 서명하고 있는데, 승려와 재가자, 남성과 여성, 관료와 일반인들의 이름이 고르게 나타나고 있다. 이 발원문들은 13세기 후반 고려 불교계의 신앙 모습을 보여주는 1차 자료라서, 14세기의 불상 복장에서 수습된 발원문들의 선구적 모습으로 평가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activities of Hanam Bohwan and his influence on the repair of the Amitabha statue in Gaesim-sa through the records found in the statue and the preface and postscripts in Bohwan’s Adding and Elimination of the Jie-Huan’s Commentary . When young, Bohwan studied the Surangama-sutra and could not be content with the explanations in the commentaries on the sutra. So he decided to devote the rest of his life as well as next lives until he could had perfect understanding on the deep meaning of it and compose a correct commentary. He wrote his decision in two prayers, the Wish for the wide spread of the Surangama-sutra in 1257 and the Call for the practicing colleagues in 1264. In 1265 he had the chance to give a lecture on the sutra at the Gwiro-am in Ok-gwa prefect, when he made correction notes on the most influential commentary at the time, the Jie-Huan’s Commentary written in China in the 12th century. And after the lecture he wrote his own commentary based on the notes, the Adding and Elimination of the Jie-Huan’s Commentary, and the New Text Analysis of the Surangama-sutra. In 1276 Bohwan presided over the Surangama-sutra lectures held at the Mongye-sa in Hapcheon prefect, where he met the prince monk Gyeongji who was moved by his lecture and helped the publication of his New Text Analysis of the Surangama-sutra. After then Bohwan moved to the Gaesim-sa in Seosan prefect, where he wrote the Prayer for the Recommendation of the Invocation to Three Buddhas and Two Bodhisatvas which recommended the prayer to the Shakamuni, Amitabha and Bhaisajyaguru buddhas as well as Avaokitesvara and Mahasthama- prapta boddhisatvas to get the enlightenment. In 1278 he was invited to the royal palace to give a sermon to King Chung-ryeol, and appointed to the presider for the Surangama-sutra lectures held in the Capital for the safety of King’s trip to the palace of Yuan. Bohwan might have been introduced to the King by KIng’s favorite monk Jo-yeong, who had lived near Ok-gwa prefect and had acquainted with Bohwan. Jo-yeong also asked the preface of Bohwan’s Adding and Elimination of the Jie-Huan’s Commentary to a famous scholar in 1275 when Bohwan prepared the publication. After his safe return to Korea, King Chung-ryeol ordered the Sutra and Statue Repair Office to publish Bohwan’s Adding and Elimination of the Jie-Huan’s Commentary in 1279. In 1280 the Seungjaesaek (Office for Monks’ Meals), the successor or a sub-organization of the Sutra and Statue Repair Office, repaired the Amitabha statue in the Gaesim-sa, where Bohwan resided. In Bohwan’s prayers found in the Amitabha statue hundreds of co-prayers including the officials of the Sutra and Statue Repair Office and the Seungjaesaek, signed their names. We can find monks and commoners, male and female in the names. As the earlier models for the 14th century prayers found in the Buddha statues, these prayers are the first hand materials on the 13th century Buddhist beliefs in Korea.

Ⅰ. 머리말

Ⅱ. 한암(閑庵) 보환(普幻) 관련 자료의 정리

1. 개심사 아미타여래좌상 불복장의 봉함목 묵서 및 발원문의 내용

2. 『수능엄경환해산보기(首楞嚴經環解刪補記)』 서문, 발문, 지문의 내용

Ⅲ. 한암 보환의 행적에 대한 검토

Ⅳ. 개심사 아미타여래좌상의 수보 배경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