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동국.png
KCI등재 학술저널

고려총국 내지부의 조직화와 노농운동

Organizations and Farmer-Labour Movement in Domestic Branch of Korean Bureau

DOI : 10.22912/dgsh.2024..80.87
  • 15

이 글의 목적은 고려총국 내지부의 조직과 노농운동을 설명하는 것이다. 고려총국 내지부는 1923년 3월 식민지 조선의 사회주의운동 전반을 관장하고 새로운 공산당 결성을 담당하기 위해 만들어진 고려총국의 국내 조직이다. 1923년 3월 설립 이후 고려총국 내지부는 서울을 비롯한 각 지방에 세포단체를 마련하며 조직화를 진행했다. 고려총국 내지부의 조직화에서 두 가지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첫 번째는 한반도 남부지방에 집중적인 조직화 활동이 전개됐다. 두 번째는 조직화 사업의 주요 대상이 각 지역 노농단체였다. 이러한 특징은 식민지 조선의 사회주의운동은 국내의 무산계급에 기반을 두고 전개해야 한다는 지침을 전달한 1922년 12월 코민테른 결정서에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고려총국 내지부는 조직화 활동을 통해 획득한 네트워크를 활용해 1923년 9월 전국적 노농단체 연합체인 ‘조선노농총동맹’ 결성을 시도했다. 그러나 식민권력의 강력한 압박으로 실패했다. ‘조선노농총동맹’ 결성 시도가 실패로 돌아간 이후 고려총국 내지부는 1924년 1월부터 남부지방의 노농단체를 중심으로 연맹체 결성을 추진했다. 이때 고려총국 내지부는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한 ‘남선 단결론’을 주장했다. 고려총국 내지부는 ‘남선 단결론’을 통해서 서울파 공산그룹의 영향력을 차단하고 자신들의 주요한 세력 기반이었던 한반도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운동을 전개하려고 했다. 또 고려총국 내지부의 ‘남선 단결론’은 그들의 조직결성 정책, 코민테른과의 관계, 소작문제를 중요하게 생각했던 운동론 등에 영향을 받았다. 고려총국 내지부는 ‘남선 단결론’에 기반해 1924년 3월 8일 대구 노동공제회 회관에서 남선노농동맹 창립총회를 개최했다. 남선노농동맹 창립총회에서 결정된 중요한 사항 중 하나는 전조선노농단체 연합에 관한 것이다. 남선노농동맹 창립총회에서도 고려총국 내지부 관계자를 중심으로 ‘남선 단결론’이 제기됐다. 남선노농동맹은 창립총회 이후 곧바로 전국의 노농단체 연합을 위한 교섭위원회를 결성하고 서울파 공산그룹을 강하게 압박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scribe the organization and activities of the Domestic Branch of the Korean Bureau in 1923-24,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Farmer-Labour Movement. The Domestic Branch of the Korean Bureau was the domestic organization of the Korean General Bureau, created in March 1923 to oversee the socialist movement in colonial Korea and to take charge of the formation of the new Communist Party. After its establishment in March 1923, the Domestic Branch of Korean Bureau organized itself by establishing cell groups in Seoul and other provinces. Two characteristics can be seen in the organization of the Domestic Branch of Korean Bureau. The first is that organizing activities were concentra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second is that the main targets of the organizing work were local farmer-labor organizations. These features may have been influenced by the Comintern Decision of December 1922, which directed that the socialist movement in colonial Korea should be based on the domestic working class. The Domestic Branch of the Korean Bureau used the networks it had gained through its organizing activities to attempt to form a nationwide federation of farmers’ organizations, the Chosun Farmer-Labour General Confederation, in September 1923, but it failed due to strong pressure from the colonial power. After the failed attempt to form the ‘Chosun Farmer-Labour General Confederation’, the Domestic Branch of the Korean Bureau promoted the formation of a federation centered on farmer-labour organizations in the southern provinces from January 1924. At this time, the Domestic Branch of the Korean Bureau advocated the ‘South Chosun Unity Theory’ centered on the southern provinces. Through the ‘South Chosun Unity Theory’, the Domestic Branch of the Korean Bureau sought to block the influence of the Seoul Communist Group and develop a movement centered o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was their main base of power. The Domestic Branch of the Korean Bureau’s ‘South Chosun Unity Theory’ was also influenced by their organizational unity policy, their relationship with the Comintern, and their movement theory, which emphasized the issue of sharecropping. The Domestic Branch of the Korean Bureau held the founding congress of the South Korean Farmer-Labour Confederation on March 8, 1924, at the Daegu Labor Mutual Aid Society Hall based on the South Korean Unity Theory. One of the important decisions made at the founding congress of the South Chosun Farmer-Labour Confederation was to unite farmer organizations across the country. At the founding meeting of the South Chosun Farmer-Labour Confederation, the ‘South Chosun Unity Theory’ was raised by officials from the Goryeo General Bureau. The South Chosun Farmer-Labour Confederation immediately formed a bargaining committee for the unification of farmers’ organizations across the country after the founding meeting and put strong pressure on the Seoul Communist Group.

Ⅰ. 머리말

Ⅱ. 고려총국 내지부의 조직화와 ‘조선노농총동맹’ 결성 시도

Ⅲ. 1924년 초 남부지역 노농단체의 연대와 ‘남선 단결론’

Ⅳ. 남선노농동맹 창립총회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