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입 사회복지사의 전공역량에 대한 성찰적 평가 연구
A Reflective Evaluation Study on the Major Competencies of New Social Workers
-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 한국사회복지교육
- 제67집
-
2024.0925 - 49 (25 pages)
- 283

본 연구는 신입 사회복지사들이 학교교육에서 사회복지사로서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공역량을 얼마나 습득했는지 자기 성찰적 평가를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사회복지기관에 재직 중인 신입 사회복지사 8명으로부터 심층면접으로 수집된 자료는 현상학적 체험 연구방법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총 158개의 진술문, 102개의 재진술문과 87개의 두 번째 재진술문으로 정리되었고, 14개의 주제와 5개의 주제 묶음으로 분석되었다. 주제 묶음은 ‘대학교육의 결실과 한계’, ‘‘전문가’ 수준으로는 미흡’, ‘‘현장’에서 완성되는 전문성’, ‘아쉬운 학교 교육’, ‘‘스스로’ 그리고 ‘함께’를 꿈꾸며’로 파악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습득한 전공역량으로서 학교교육의 성과, 사회복지 전문성에 대한 평가, 사회복지교육의 부족한 부분 등으로 요약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습교육의 강화, 디지털 기술 교육, 전문성 확보 노력, 그리고 사회복지산업공동체 형성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much major competency new social workers acquired in school education to perform their duties as social workers through self-reflection evaluation.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 new social workers currently working at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were analyzed us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total of 158 statements, 102 re-statements, and 87 second re-statements were organized, and analyzed into 14 meaningful themes and 5 theme clusters. The 5 theme clusters are as following; ‘the fruits and limitations of university education’, ‘insufficient as an ‘expert’’, ‘expertise completed in the ‘field’’, ‘insufficiency of school education’, ‘dreaming of ‘by myself’ and ‘together’’.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the achievements of school education as acquired specialized competencies, evaluation of social welfare expertise, and areas lacking in social welfare educat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necessity of strengthening field practical education, digital technology education, efforts to secure expertise, and forming a social welfare industry community were suggested.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및 절차
Ⅳ. 자료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