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지상에 주검을 안치하고 돌을 덮어 매장을 마무리한 적석분이 선사시대에는 중국 요동반도 남부에서, 역사시대에는 압록강과 한강 수계 등 한정된 공간에서 시간을 달리하며 조영되었다는 점에서 이들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선행 작업으로 요동반도 남부의 선사시대 적석분을 살핀 것이다. 요동반도 남부의 적석분은 하나의 분구에 하나의 매장부가 있는 단분단묘보다는 여러 기의 매장부가 분구를 공유하는 동분다묘, 혹은 분구가 연접된 다분다묘 등 집단묘 형태를 띠고 있다. 드러난 양상은 분구가 연접된 열상형과 하나의 분구에 복수의 매장부가 있는 응집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응집형의 비중이 커간다. 매장과 관련된 장속은 단인장에서 차츰 다인합장으로 변화하며, 다인합장은 추가로 이루어지거나 동시에 이루어지기도 하며, 매장부 내외에서 화장도 행해진다. 열상형은 단인장, 응집형은 다인 합장이 우세하며, 다인합장은 매장부 내 화장의 비중이 커가는 변화를 보인다. 따라서 적석분은 구조와 장속이 대응하면서 전개된다고 할 수 있다. 신석기 말에서 청동기시대의 개시를 즈음하여 요동반도 남부에서 출현한 적석분은 청동기시대 동안 여러 모습으로 조성되다가 중국의 전국~진·한 교체기를 즈음하여 조영이 종료된다. 근 2000여 년 기간 요동반도 남부를 벗어나지 않은 적석분은 보수적이며 배타적인 묘제라고 할 수 있다. 요동반도 남부에서 적석분이 종료된 후 역사시대에 들어서면서 요동반도 남부의 적석분과 유사한 무덤이 압록강과 한강 수계에서 확인되어서 이들의 관계가 주목된다. 압록강 중상류의 장백 간구자 적석총과 한강 수계의 서울 석촌동 적석총은 다방향으로 분구가 연접된 다분다묘이며, 정선과 광주, 용인의 적석총은 매장부가 연접된 응집형 동분다묘로 역사시대 압록강이나 한강수계의 적석총을 요동반도 남부로부터 단선적으로 설명할 수는 없다. 아직 이들의 관계를 설명할 만한 자료가 충분하지는 않으나, 이는 향후 해결되어야 할 과제이다.
Stone mound tombs, in which the deceased was placed upon the ground and the burial covered by stones, have a restricted spatial distribution and are observed mainly in the southern Liaodong Peninsula of China, the Amnok (Yalu) River basin, and the Han River basin. In this study, analysis was undertaken on the prehistoric stone mound tombs of the southern Liaodong Peninsula of China in order to lay down the foundations for future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one mound tombs of the different regions. The stone mound tomb was built from the end of the Neolithic Age until the introduc-tion of iron culture exclusively within the southern Liaodong Peninsula region; therefore, it can be regarded as a very conservative and exclusive tomb tradition. Stone mound tombs can be divided according to structure type into linear attached multiple tombs and clusters of single tombs featuring multiple burials. An increase in the latter can be observed over time. A change in burial method from single individual to multiple individual burials in tombs occurred, and cremation took place at multiple individual tombs. Linear attached tombs corresponded with single individual burials, and clustered tombs corresponded with multiple individual burials. Cremation also increased over time. The stone mound tombs of the southern Liaodong Peninsula were popularly used during the Bronze Age but their use came to an end around the period of the Warring States and the Qin-Han transition in the Chinese mainland. The stone mound tombs of Gangouzi, Changbai, in the upper-middle reaches of the Amnok River and the stone mound tombs of Seokchon-dongg, Seoul, are linear attached multiple tombs, the stone mound tombs in Jeongseon, Gwangju, and Yongin are clusters of single tombs featuring multiple burial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re are similarities, in terms of structure and buri-al method, between these tombs of the Amnok and Han River regions and those of the southern Liaodong Peninsula, although a direct casual relationship cannot be posited. This relationship must be further explored within Korean archaeology, as the appearance and termination of the stone mound tomb tradition in the southern Liaodong Peninsula is re-spectively linked to the Neolithic Age to Bronze Age transition and the Bronze Age to Iron Age transition.
Ⅰ. 머리말
Ⅱ. 적석분의 구조와 유형
Ⅲ. 적석분의 시공간적 양상
Ⅳ. 맺음말: 압록강, 한강 수계의 역사시대 적석총과 관련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