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의 문제행동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놀이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Problem Behavior on Self-efficacy of Young Childre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lay Flow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어린이문학교육연구
- 제25권 제3호
-
2024.09333 - 350 (18 pages)
-
DOI : 10.22154/JCLE.25.3.14
- 6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문제행동이 놀이몰입을 매개로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G시 공립유치원 10곳의 만 5세 유아 152명이며 유아의 문제행동, 놀이몰입, 자기효능감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JAMOVI 23.0을 활용해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문제행동과 놀이몰입, 자기효능감은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문제행동은 자기효능감과 놀이몰입에 유의한 부적상관을 나타냈고, 놀이몰입은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유아의 문제행동은 자기효능감을 예측하는 부적 변인으로 나타났고, 놀이몰입은 두 변인 간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유아의 자기효능감 발달에 문제행동과 놀이몰입이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유아의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해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고 놀이몰입을 촉진할 수 있는 교육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 on self-efficacy through play flow. The study collected surveys from 152 five-year-old children from 10 public kindergartens in G city, and surveys were conducted on children's problem behavior, play flow, and self-efficac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JAMOVI 23.0 for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 play flow, and self-efficacy. Problem behavior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self-efficacy and play flow, while play flow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Additionally, problem behavior emerged as a negative predictor of self-efficacy in young children, and play flow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two variables. This study validates the potential impact of problem behavior and play flow on the development of self-efficacy in young children, emphasizing the need for educational support to reduce problem behaviors and enhance play flow to promote self-efficacy.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