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음악 교과에서 협업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LT(Learning Together) 협동학습을 바탕으로 기악 합주 수업을 구조화하고, 이를 구글 크롬 뮤직 랩의 공유 피아노(Shared Piano)를 활용하여 음악 수업을 설계하였다. 이러한 수업의 설계는 음악 교과의 협업 활동 중 하나인 기악 합주를 통해 협동이 가진 장점을 부각하고 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하며, 공유 피아노를 활용한 합주 수업으로 기존의 합주 수업이 지닌 문제점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협동학습을 적용한 합주 수업을 분석하여 문제점과 개선점을 파악하였다. 둘째, LT 협동학습의 수업 절차를 기악 합주에 맞게 구조화하고, 각 절차별 세부 사항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세부 사항을 각각의 수업 절차에 적용하여 학습 목표뿐 아니라 협동학습의 효과도 효율적으로 끌어낼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기악 합주 수업의 구조화를 바탕으로 합주 수업 지도안을 총 3차시로 설계하였다. 구조화된 합주 수업은 각 차시별로 강조되어야 할 협동학습의 기본원리를 명시하여 협동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계된 수업을 통해 합주 수업에서 효과적인 협동 학습을 가능하게 하여 협업 능력 향상과 디지털 소양 함양이라는 교육적 목표를 달성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앞으로 음악 수업에서 학생들의 협업 능력을 고취시킬 수 있는 다양한 음악 활동에 관한 수업과, 새로운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기악 합주 수업에 관한 후속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This study structured instrumental ensemble classes based on LT (Learning Together) cooperative learning to improve collaboration skills in music subjects, and designed music classes using Google Chrome Music Lab's Shared Piano. This lesson design using Shared Piano was structured to emphasize the advantages of cooperation and to maximize the learning effects through instrumental ensemble class, one of the collaborative activities of the music subject by applying cooperative learning model. The design of these classes aims to highlight the advantages of cooperation through instrumental ensembles, one of the collaborative activities of music subjects,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and to improve the problems of existing ensemble classes through ensemble classes using shared piano. The procedure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based on prior research, the ensemble class applying cooperative learning was analyzed to identify problems and improvements. Second, the instructional procedure of LT cooperative learning was structured according to the instrumental ensemble, and details for each procedure were derived. The derived details were applied to each class procedure so that not only the learning goal but also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could be efficiently drawn. Third,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instrumental ensemble class, the ensemble class instruction plan was designed in a total of three sessions. The structured ensemble class specified the basic principles of cooperative learning to be emphasized for each class so that cooperation could be made more effective. Through the class designed in this study, it will contribute to achieving the educational goal of improving collaboration ability and cultivating digital literacy by enabling effective cooperative learning in ensemble classes. In the future, we hope that there will be a follow-up study on various music activities that can inspire students' collaboration skills in music classes and instrumental ensemble classes using new technology.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중학교 음악 교과서 분석 및 합주곡 선정
Ⅳ. 합주 수업 설계
Ⅴ. 결론 및 제언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