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언어 네트워크를 활용한 가정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2015 및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Using Language Network: Focusing on the 2015 and 2022 Revised Curriculum

  • 219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6권3호_표지(1022).jpg

본 연구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2015 및 2022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을 비교하고 두 시기의 핵심 키워드와 주요 토픽의 변화를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두 시기의 중학교와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과정 문서에서 추출한 키워드로 언어 네트워크를 생성하고, 중심성 분석과 토픽모델링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의 핵심 키워드는 ‘가족’, ‘건강’, ‘문제’, ‘해결’ 등, 2022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의 핵심 키워드는 ‘생활’, ‘선택’, ‘환경’, ‘일상’, ‘변화’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기별로 추출된 6가지 토픽과 함께 비교한 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가족’ 및 교과 역량(실천적 문제 해결 능력)과 관련된 내용들이 핵심적으로 다루어졌으며, 2022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에서는 생활환경 및 일상의 변화, 지속가능한 선택과 관련된 내용들이 보다 강조되고 있었다. 둘째, 고등학교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에서는 ‘가족’, ‘생활’, ‘안전’, ‘문제’ 등, 2022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에서는 ‘생활’, ‘가족’, ‘문화’, ‘삶’, ‘복지’ 등의 단어가 핵심 키워드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기별로 추출된 5가지 토픽과 함께 살펴본 결과,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가족’과 ‘안전’의 영향력은 다소 감소하고, 생활문화와 디지털 환경, 생활복지와 관련이 있는 내용 요소들의 영향력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차기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 교과 역량, 교수⋅학습 및 평가와 관련된 시사점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2015 and 2022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a using a language network analysis, examining changes in core keywords and major topics between these two periods. Keywords from middle and high school home economics curriculum documents of both periods were used to construct language networks, analyzed using centrality measures and topic modeling. The results follow. First, the core keywords of the middle school 2015 revi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were ‘family’, ‘health’, ‘problem’, and ‘solution’, and the core keywords of the 2022 revi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were ‘life’, ‘choice’, ‘environment’, ‘routine’, and ‘change’. In addition, a comparison of six topics extracted by both periods revealed that the 2015 revised curriculum dealt with the contents related to ‘family’ and subject competency (practical problem-solving ability) as core elements, while the 2022 revised curriculum emphasized changes in living environment, daily life, and sustainable choices. Secondly, the core keywords of the high school 2015 revi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were ‘family’, ‘life’, ‘safety’, and ‘problem’, and the core keywords of the 2022 revi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were ‘living’, ‘family’, ‘culture’, ‘life’, and ‘welfare’. An examination of the five topics extracted by both periods confirmed that the emphasis on ‘family’ and ‘safety’ decreased and the influence of content related to life culture, digital environment, and life welfare increas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his study is essential in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the next curriculum and offers insights into subject competenc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