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우리말연구.jpg
KCI등재 학술저널

훈민정음 ‘ㅣ’ 상합 글자 교육의 개선 방안

Improvement Measures for Teaching the Combined Character ‘ㅣ’ in Hunminjeongeum

DOI : 10.35902/URM.2024.79.5
  • 24

<훈민정음>에서는 ‘ㅐ’와 ‘ㅔ’와 같은 ‘ㅣ’ 상합 글자를 사용하여 /aj/와 /əj/와 같은 ‘j’계의 하향 중모음을 표기하였다. 그런데 현대국어에는 ‘j’계 하향 중모음이 없으며, 현재 쓰이고 있는 ‘ㅣ’ 상합 글자의 음가도 중세국어의 그것과 다르다. 그런데 현행의 『언어와 매체』 교과서에서 중세국어의 모음 체계를 기술하는 교육 내용이 적절하게 반영되어 있지 않거나, 교수-학습의 활동에서 ‘ㅣ’ 상합 글자의 음가를 제 음가대로 교육하지 못하고 있다. 이로 말미암아서 중세국어를 교수-학습하는 수업의 현장에서는, 대부분의 교사와 학습자들이 ‘ㅐ’와 ‘ㅔ’ 등의 글자를 현대국어의 한글처럼 단모음인 /ɛ/와 /e/로 발음하고 있다. 만일 학습자들이 ‘ㅣ’ 상합 글자의 음가를 올바르게 이해하지 못하면, 문법의 교육 내용이나 음운의 역사적 변화를 학습할 때에 장애를 겪을 수 있다. 이 글에서는 ‘ㅣ’ 상합 글자 교유과 관련하여 생길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문법교과서의 교육 내용과 교수-학습의 방법을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곧, 중세국어의 ‘문자와 음운’의 단원에 ‘ㅣ’ 상합 글자의 음가에 관한 교육 내용을 수록하여, ‘ㅣ’ 상합 글자의 음가에 관련한 교육 내용을 문법이나 음운 변화의 교육과 연계하여 교수-학습하는 방법을 개발한다.

Among the vowel letters in <Hunminjeongeum>, there were letters that represented descending mid vowels of the ‘j’ series by adding the letter ‘ㅣ’ after a vowel letter, such as ‘ㅐ(ㅏ+ㅣ), ㅚ(ㅗ+ㅣ), ㅔ(ㅓ+ㅣ), ㅟ(ㅜ+ㅣ)’. This article aims to propose ways to improve the content of grammar textbook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to address potential teaching-learning issues related to the combined vowel ‘ㅣ’. Specifically, it seeks to include educational content on the phonetic value of the combined vowel ‘ㅣ’ in the unit on ‘letters and phonemes’ of Middle Korean, and to develop methods for teaching-learning the structure and phonetic value of the combined vowel ‘ㅣ’ in connection with the education of grammar or phoneme changes.

1. 머리말

2. ‘ㅣ’ 상합 글자의 교육 내용과 교수-학습의 실태 분석

3. ‘ㅣ’ 상합 글자 교육의 개선 방안

4. 맺음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