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우리말연구.jpg
KCI등재 학술저널

대조의 정보구조

The Information Structure of Contrastiveness

DOI : 10.35902/URM.2024.79.61
  • 21

대조초점과 대조주제는 조사 결합에서 ‘은/는’을 공유하는 특성을 지닌다. 대조초점은 ‘이/가’ 등 격조사가 결합한 성분을 가리키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이를 확인초점, ‘은/는’이 결합한 초점을 대조초점으로 규정하기도 한다. 문두의 ‘은/는’ 성분을 초점이 아닌 주제로만 보기도 하지만, 새로운 정보인 경우는 초점 즉 대조초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가’ 확인초점은 통합적 관계에서 그 기능이 설명되는 격조사의 속성상 동렬의 다른 항목을 고려하지 않는 반면, ‘은/는’ 대조초점은 비교, 대조 등 계열적 관계에서 그 기능이 설명되는 보조사의 속성상 동렬의 다른 항목을 고려하는 특성을 지닌다. 두 초점의 차이는 총망라성, 현저성 등으로 설명되기 어려우므로 이 조사의 본질적 차이에 기반하여 이해해야 한다. 대조주제 역시 ‘은/는’의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대조초점과 일관되게 이해할 수 있다. 대조주제와 대조초점은 복합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누가 왔니?’라는 질문에 대한 답 ‘철수는 왔어요’에서 ‘철수’는 주제로 파악되는데, 그러면서 의문사에 대한 답으로서 신정보의 특성도 지닌다. 이는 주제이면서 초점의 성격을 복합적으로 지니는 것으로 이해된다.

Contrastive focus and contrastive topic share the characteristic of being associated with the particle ‘-은/는’ in Korean. While contrastive focus can refer to elements marked by case particles such as ‘-이/가,’ it is also defined in some cases as focus marked by the particle ‘-은/는.’ Although ‘-은/는’ is sometimes viewed as indicating topics rather than focus, in contexts where it introduces new information, it can function as contrastive focus. Unlike case particles such as ‘-이/가,’ which do not necessarily imply a consideration of alternative items within a paradigmatic relationship, the particle ‘-은/는’ as contrastive focus operates within a series of comparable or contrasting elements, due to its role as an auxiliary particle. Therefore, the distinction between these two types of focus cannot be fully explained through notions such as exhaustivity or prominence; rather, it should be understood based on the inherent properties of these particles. Similarly, contrastive topics can be consistently understood within the same framework as contrastive focus, given the particle ‘-은/는’ shares these functions. Both contrastive topics and contrastive focus can co-occur, as seen in responses such as ‘철수는 왔어요(Cheolsu has come),’ in response to the question, ‘누가 왔니(Who came)?’ Here, ‘Cheolsu’ is interpreted as a topic, while simultaneously functioning as new information, thus embodying both the characteristics of a topic and a focus.

1. 서론

2. 초점의 분류와 과제

3. 확인초점과 대조초점

4. 대조초점과 대조주제

5.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