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우리말연구.jpg
KCI등재 학술저널

정형/비정형 관형사절의 사건/명제 해석의 비대칭성에 대한 인지적 설명

A Cognitive Explanation of the Asymmetry in Event/Propositional Interpretation of Finite/Non-finite Adnominal Clauses

DOI : 10.35902/URM.2024.79.101
  • 13

본 연구는 ‘본래 사건을 나타내는 비정형절이 어떤 맥락에서는 명제를 나타낼 수도 있는 현상’과 비대칭적으로 ‘명제를 나타내는 정형절은 어떤 경우에도 사건을 나타낼 수 없는 현상’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진화심리학의 ‘궁극적 설명’이라는 방법론을 도입하였다. 해당 현상을 언어학적으로 유형 강제나 다면어적 현상으로 설명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는 궁극적 설명이 될 수 없다. 본고는 인지 체계를 기반으로 한 설명을 채택한다. 사건기억은 의미기억이 되지만 의미기억은 사건기억이 될 수 없다. 이러한 인지 체계의 양상이 언어적으로도 그대로 반영되어 비정형절/정형절의 해석에 비대칭성이 나타나는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phenomenon where non-finite clauses, which originally denote events, can sometimes represent propositions, while, asymmetrically, finite clauses that express propositions cannot denote events in any context. To explore this, the methodology of “ultimate explanation” from evolutionary psychology is introduced. While this phenomenon could be explained through type coercion or polysemy, such explanations are not considered ultimate. This paper adopts an explanation based on cognitive systems as the ultimate explanation. Event memory can become semantic memory, but semantic memory cannot become event memory. This asymmetry in cognitive systems is directly reflected in language, leading to the asymmetrical interpretation of non-finite and finite clauses.

1. 서론

2. 근접 설명과 궁극적 설명

3. 정형 관형사절과 비정형 관형사절의 비대칭성에 대한 언어학적 접근

4. 사건과 명제에 대한 기억 체계를 통한 인지적 접근

5.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