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우리말연구.jpg
KCI등재 학술저널

사설의 정보 초점화 형태 분석 ―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Information Focusing Forms in Newspaper Editorials with a Focus on the Chosun Ilbo and the Hankyoreh

DOI : 10.35902/URM.2024.79.169
  • 31

이 연구는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시기에 쓴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의 사설에서 정보를 초점화한 형태를 평가어 이론의 태도와 개입을 기반으로 분석한 논문이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신문의 사설에서 초점화 형태는 주로 선택과 강조로 실현되었다. 곧, 사설에서 제시되는 논거는 신문사에 유리한 자료에 한정하고, 선택된 논거는 초점으로 강조되어 제시한다. 둘째, 사설에서 태도의 초점화는 판단을 중심으로 강도 높은 감정 평가로 제시된다. 곧, 긍정적 결과를 논거로 하여 부정적 주제로 초점 이동(조선일보)하거나, 희망적인 기대와 연결(한겨레)한다. 셋째, 사설에서 개입의 초점화는 유리할 경우에는 단일음성으로, 불리할 경우에는 다중음성으로 제시된다. 곧, 비판할 때는 단일음성으로 단호한 목소리를 내며, 대안을 제시할 때는 다중음성으로 표현하여 책임을 회피하는 기제로 사용한다.

This study analyzes information focusing forms in the editorials of the Chosun Ilbo and Hankyoreh newspapers published during the 22nd parliamentary elections with a focus on the attitude and intervention of evaluative language theory.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orms of focalization in the editorials of the two newspapers were mainly realized by selection and emphasis. Second, attitudinal focusing in editorials is presented as intense emotional evaluation centered on judgment by shifting the focus to a negative topic based on positive results(the Chosun Ilbo) or by linking it to hopeful expectations (the Hankyoreh). Third, focusing on engagement in editorials is presented as monogloss in favorable cases and heterogloss in unfavorable ones. That is, when criticizing, a resoulte voice is expressed in monogloss, and when presenting an alternative, it is expressed in heterogloss as a mechanism to avoid responsibility.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mplications revealed from the above analysis of information focus in editorials are that editorials should be viewed as objects of critical reading rather than as information for forming public opinion.

1. 문제 제기

2. 사설과 평가어 이론

3. 사설의 정보 초점화 형태 분석

4. 반성과 전망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