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국어과의 핵심 교육 내용이자 학습 언어로서 중요도가 높은 ‘설명’에 주목하여, 설명 텍스트의 의미 구조를 언어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설명은 교과 특성에 따라 그 목적과 대상, 성격, 방법 등이 다르기에, 국어과에서는 이를 고려하여 교과적 특수성이 반영된 설명 관련 언어 자원을 제공해 줄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지식 사회학적 관점의 LCT(Legitimation Code Theory)에서 ‘의미 파형(semantic wave)’ 개념을 차용하여 설명 텍스트의 의미 구조와 지식 구성 방식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과학 및 역사 분야에서 1) 개념화 및 재개념화, 2) 개념 연결, 3) 개념 해체 차원에서 학문 분야별로 독특한 양상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본고의 논의는 LCT를 활용해 국어과의 텍스트 분석 방법의 다각화에 기여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linguistically analyze the semantic structure of explanatory texts, focusing on "explanation," which is a core educational content of the Korean language and is important as a learning language. Since explanations differ in their purpose, target, nature, and metho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able to provide explanation-related language resources that reflect the subject-specific characteristics. To achieve this, the concept of the "semantic wave" from Legitimation Code Theory (LCT), a sociological approach to knowledge, was employed to analyze the semantic structure and knowledge construction methods of explanatory texts. The analysis revealed distinctive patterns in the fields of science and history, particularly in terms of 1) conceptualization and reconceptualization, 2) concept connection, and 3) concept deconstruc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contribution to diversifying the methods of text analysi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applying L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대상 및 방법
4. 분석 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