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우리말연구.jpg
KCI등재 학술저널

지역 연계형 한국어교육을 위한 교수자 인식 조사 연구

A Study on Instructors' Perceptions of Regionally Connec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DOI : 10.35902/URM.2024.79.291
  • 34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교수자를 대상으로 지역 연계형 한국어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향후 지역 연계형 한국어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시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고에서는 한국어 교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FGI(Foucus Group Interview)를 혼합한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지역 연계형 한국어교육의 인식과 교육 요구도 및 관련 경험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 교수자들은 전체적인 지역 연계형 한국어교육에 대한 필요도가 수행도에 비해 높게 나타나, 지역 연계형 교육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있으나 실제 현장에서는 이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역어 교육에서는 ‘듣기’ 교육이, 지역 문화 교육에서는 ‘역사인물>과학기술>가치관’ 등의 항목이 높은 우선순위를 보였으며, 체험과 연계된 지역 문화 교육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수렴되었다. 이 연구는 한국어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지역 연계형 한국어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지역 특성을 반영한 한국어교육의 필요성을 실증적으로 확인하고, 다양한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교육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Korean language instructors regarding regionally connec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its development. To this end, the study employed a mixed-methods approach combining surveys and Focus Group Interviews (FGI) with Korean language instructors to examine their perceptions, educational needs, and related experiences concerning regionally connec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while Korean language instructors perceive a high necessity for regionally connec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actual implementation in practice is insufficient. Specifically, in the realm of regional dialect education, listening skills were prioritized, whereas in regional culture education, the categories of historical figures, scientific technology, and values were deemed of high importance. Additionally, there was a consensus on the need for experiential regional culture educ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empirically confirms the necessity of incorpora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into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provides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educational strategies that reflect various regional traits.

1. 들어가기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3. 연구 방법

4. 교수자 인식 분석 결과

5. 나가기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