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생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상호작용이 학교생활만족도와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Online and Offline Interactions on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복지상담교육연구
- 제13권 제2호
- 2024.10
- 25 - 48 (24 pages)
본 연구는 대학생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상호작용이 학교생활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의사소통을 매개로 한 간접적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 아동ㆍ청소년ㆍ청년 데이터 아카이브에서 수집한 ‘코로나-19시대 MZ세대의 사회성 발달 연구’의 연도별 NYPI 횡단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전국 대학생 800명을 대상으로 SPSS 29.0과 AMOS 2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온라인 상호작용은 학교생활과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오프라인 상호작용은 학교생활 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의사소통은 학교생활과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대학생의 관계와 상호작용,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를 대학 차원에서 지원하여 학교생활 및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rect effects of college students' online and offline interactions on their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nd life in general, as well as the indirect effects mediated by communication.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Study on Social Development of the MZ Generation in the COVID-19 Era” collected by the Korean Children, Youth, and Young Adults Data Archive were used, specifically the annual NYPI cross-sectional survey data. A total of 800 college students nationwide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9.0 and AMOS 29.0 programs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nline interaction among college student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chool life or life satisfaction. Second, offline interaction among college student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both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Third, communic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s, interactions, and communication among college students and suggest the need for active interventions at the institutional level to enhance their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nd life overall.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