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인애착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낙관성과 정신화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Effect of Adult Attachment on Post-traumatic Growth: Moderated Mediation of Optimism and Mentalizing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복지상담교육연구
- 제13권 제2호
- 2024.10
- 309 - 339 (31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들의 애착이 낙관성을 매개로 하여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신화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만 19~39세의 성인 260명을 대상으로 외상 경험 및 성인애착, 낙관성, 정신화 경험에 관한 설문조사를 온 오프라인 방식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변인 간 상관분석 결과, 애착회피는 외상 후 성장과 부적상관을 나타냈으며, 애착불안은 외상 후 성장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정신화 및 낙관성은 외상 후 성장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개효과 분석결과, 애착 회피와 외상 후 성장 간 관계에서 낙관성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절효과 분석에서는 낙관성과 외상 후 성장 간 관계에서 정신화가 조절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결과, 애착회피가 낙관성을 통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간접효과에서 정신화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논의와 의의,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post-traumatic growth (PTG) through the mediation of optimism. To achieve this, the study surveyed 260 adults aged 19-39, gathering data on trauma experiences, adult attachment patterns, and levels of optimism and mentalization through both online and offline questionnair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avoidant attachmen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ost-traumatic growth, while anxious attachment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TG. In contrast, mentalization and optimism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PTG. Second, medi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optimism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voidant attachment and PTG. Third, moderation analysis showed that mentalization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PTG. Fourth, the moderated mediat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indirect effect of avoidant attachment on PTG through optimism was significantly moderated by mentaliz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discusses its implications and provide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