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박물관교육연구.jpg
학술저널

사회정서역량 함양을 위한 회정서역량 함양을 위한 사회정서학습(SEL) 미술 회정서학습(SEL) 미술 프로그램 개발: 에르베튈레 색색깔깔 뮤지엄 전시의 미취학 아동 관람자를 대상으로

  • 120

최근 여러 연구에서 사회정서학습의 구성 틀을 활용하여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타당성을 논의하는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과 사회정서학습에 관한 논의를 분석하고 미취학 아동의 관점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은 미취학 아동의 사회정서역량 함양을 위한 사회정서학습 전시연계 미술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박물관·미술관 전시연계 프로그램과 사회정서학습 미술 교육의 관계성을 탐구하고, 문헌 및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국내·외 사회정서학습의 동향과 관련 미술프로그램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둘째, 미취학 아동의 사회정서학습과 사회정서역량의 정의를 분석하고, 프로그램의 기본 구조를 구축하기 위해 사회정서학습 전시연계 프로그램의 구조를 논의하였다. 셋째, 앞의 내용을 기반으로 개발한 프로그램을 델파이 조사·분석을 통해 타당성 및 기대효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연구는 사회정서학습으로서 박물관·미술관 전시연계 미술 프로그램이 미취학 아동의 사회정서역량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향후 사회정서학습과 다양한 연계 교육에 관한 담론을 확장할 수 있는 사례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ocial emotional learning exhibitionlinked art education program to cultivate social emotional competencies of preschool children.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museum and art museum exhibition-linked programs and social emotional learning art education was explored, and the trends of domestic and foreign social emotional learn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related art programs were examined based on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Second, the definitions of social emotional learning and social emotional competencies of preschool children were analyzed, and the structure of a social emotional learning exhibition-linked program was discussed. Third, the developed program was verified for its validity and expected effect through Delphi investigation and analysi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social emotional learning exhibition-linked art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ultivation of social emotional competencies of preschool children. In addi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n example to expand the discourse on social emotional learning and various related education in the future.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전시연계 사회정서학습 미술 프로그램 개발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