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지)11-2)1129)SE5.4mm)모조100g72p-2_페이지_1.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된 이용자에게 적용한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및 치매안심마을의 향후 연구 방향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s of Programs Applied to Users Registered at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Dementia Care Village

  • 52

목적 :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된 이용자에게 적용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고 프로그램 확대 및 효과적인 정책 마련에 기본 틀을 제공하면서 치매안심마을에서 추진하고 있는 치매친화적 지역사회 조성을 위한 기본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 : 2018년 이후부터 2024년까지 데이터베이스 GOOGLE SCHOLAR, RISS에 ‘치매’, 프로그램’, 치매안심센터’, 마을형주거공간’, 치매친화적마을’의 주요 검색어를 사용하여 선정과 배제기준으로 논문을 분류하고 검토한 결과, 최종적으로 9편의 논문을 세부적인 분류로 분석한 후 선정하였다. 결과 : 연구의 질적수준은 총 9편으로 5단계 분류 방법에서 Level Ⅱ 2편(22.2%), Level Ⅲ 7편(77.8%)으로 분류되었다. 중재 대상자는 경도인지장애 5편(55.6%)으로 가장 많았고, 중재 종류에는 치매인식교육, 정서교감과 인지증진 활동, 치매가족지지프로그램, 일상생활 프로그램, 가상현실과 로봇 매개 인지훈련 프로그램 등이 제공되었다. 그 결과 인지기능, 삶의 질, 대인관계, 자기효능감, 심리학적인 안정감과 우울 증상의 감소에 통계학적인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된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효과를 나타내었을 뿐 아니라 치매 친화적 환경 조성을 위한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programs applied to the elderly registered at Dementia Care Centers, provide a basic framework for expanding services and establishing effective policies, and while suggesting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creating a dementia- friendly community promoted by the Dementia Care Village. Methods : Literature published between 2018 to 2024, 9 studi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based on inclusion criteria and exclusion criteria using the main search terms ‘Dementia’, Program’, Dementia care Center’, Village-type residential space’, Dementia friendly villages’in the databases GOOGLE SCHOLAR, RISS. Results : There were a total of 9 studies of quality, which were classified as Level II 2(22.2%), Level Ⅲ 7(77.8%). The subjects of intervention were mostly studies on mild cognitive impairment, with 5 studies (55.6%), and the types of intervention included dementia awareness education, emotional empathy and cognitive enhancement activities, dementia family support programs, daily life programs, virtual reality and robot-mediated cognitive training programs. As a result, i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cognitive function, quality of lif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efficacy, psychological stability, and reduction of depressive symptoms. Conclusion :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not only demonstrated effectiveness through systematic analysis of users registered at the Dementia Care Center, but also sugges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creating a dementia-friendly environment.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참 고 문 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