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지)11-2)1129)SE5.4mm)모조100g72p-2_페이지_1.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사진 치료 프로그램이 중년층 발달장애인의 자아존중감과 자아정체감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oto Therapy on Self-esteem, Ego Identity, and Socialization in Middle-aged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60

목적 : 본 연구는 사진 치료 프로그램이 중년층 발달장애인의 자아존중감, 자아정체감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D지역 지역사회 거주 장애인 중 복지관 서비스 이용하는 중년층 발달장애인 5명을 대상으로 사진 치료 프로그램을 주 1회 60분 8회기 적용하였다. 중재 전·후의 비교를 위하여 자아존중감 척도(Rosenberg Self-Esteem Scale, RSES), 자아정체감 척도(Ego Identity Scale, EIS), 사회성 척도(Social Skills Rating System, SSRS)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 대응표본 비모수검정을 실시하여 사전-사후를 분석하였다. 결과 : 사진 치료 프로그램 중재 후 자아존중감, 자아정체감 및 사회성 전·후 비교 시 자아존중감 영역에서 평균 5점 향상되었고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p<.05). 사회성 점수는 6점 향상되었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자아정체감은 81.80점에서 79.60점으로, 사회성은 73.40점에서 79.40점으로 나왔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중년층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사진 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자아존중감 향상에 대한 단기적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앞으로 작업치료에서 사진 치료 프로그램 중재 적용이 중년층 발달장애인 대상 중재 방식에 자아성취감 및 사회적 상호작용의 긍정적인 경험으로 기대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hoto therapy on self-esteem, ego identity, and social skills in middle-aged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s : Five participa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living in the community and using welfare center services, who were middle-aged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siding in Area D, received photo therapy for eight 60-minute sessions once a week. For the compare pre- and post- intervention, the Rosenberg Self-Estem Scale (RSES), the Ego Identity Scale (EIS), and the Social Skills Rating System (SSRS) were used. Data were analyzed pre- and post-test using SPSS paired samples non-parametric test. Results : The pre-post comparison of self-esteem, ego identity, and social skills after the photo therapy intervention showed an average improvement of 5 points in self-esteem, with a significant change (p<.05). Socialization scores improved 6 points, but the chang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lf-esteem went from 81.80 to 79.60 and socialization went from 73.40 to 79.40, which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e short-term effects of applying photo therapy to middle-aged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improve self-esteem.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pplication of photo therapy intervention in occupational therapy can be used as an intervention method for middle-aged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a positive experience of self-esteem and social interaction.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참 고 문 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