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지)11-2)1129)SE5.4mm)모조100g72p-2_페이지_1.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6-7세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지능과 부모양육특성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between Intelligence and Parenting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ADHD Aged 6-7

  • 44

목적 : 본 연구는 6-7세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지능과 부모양육특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 소아정신과 전문의로부터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진단을 받은 6-7세 아동 30명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양육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부모양육특성검사를 실시하였다. 한국판 웩슬러 아동지능검사 5판 결과와 부모양육특성검사 결과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6-7세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부모양육특성검사 결과 보호자의 양육효능감 평균은 48.2점, 배우자 양육협력 평균 48.2점, 부모 상호작용 44.1점으로 나타나 부모양육특성의 하위 항목들 평균이 모두 평균 이하로 나타났다. 한국판 웩슬러 아동지능검사 5판으로 측정한 6-7세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지능과 하위영역인 언어이해, 시공간, 유동추론, 작업기억, 처리속도 검사 결과는 부모양육특성검사로 측정한 양육효능감, 배우자 양육협력, 부모 상호작용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는 6-7세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지능과 부모의 양육특성을 표준화된 평가도구로 측정하여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부모양육특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6-7세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지능과 부모양육특성의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부모양육특성검사의 모든 하위 항목에서 낮은 결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 ADHD 아동을 중재함에 있어 아동뿐만 아니라 부모교육 등 보호자를 대상으로 하는 개입도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부모의 양육특성은 아동의 지능보다 다양하고 복합적인 요소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으며, 추후 부모의 양육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되는 다양한 요소를 포함한 후속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 :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intelligence and parenting characteristics in children aged 6–7 years with ADHD. Methods : This study examined the Parenting Characteristics Test (PCT) to guardians of 30 children aged 6–7 years diagnosed with ADHD. and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between the scores on the Korean version of the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5th Edition (K-WISC-V) and the results of the PCT. Results : The results of the PCT for children aged 6–7 years with ADHD showed that all of parenting characteristics were below the mean. Additionall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ntelligence with parenting characteristics. Conclusion :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objectively evaluating the parenting characteristics of parents of children aged 6–7 years with ADHD by measuring the children's intelligence and parental characteristics using standardized assessment tools. The lack of correlation between intelligence and parenting characteristics suggests that factors more complex than a child’s intelligence are associated with parenting characteristics. This underscores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parenting characteristics involving children aged 6–7 years with ADHD and their parents.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참 고 문 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