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vntzwlhyuqkapsijvnqr.png
KCI등재 학술저널

전문상담 병행 목회자의 정체성 형성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Identity Formation Process of Pastors in Parallel with Professional Counseling

DOI : 10.23909/kjcc.2024.11.35.4.115
  • 124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상담 병행 목회자들의 정체성 형성과정을 살펴보고, 이들이 형성한 정체성의 특성과 그 의미를 이해하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들은 3년 이상 전문상담 분야에서 수련을 거쳐 공신력 있는 민간 자격증이나 국가자격증을 취득한 후 전문상담을 병행하고 있는 4명의 목회자이다. 전문상담 병행 목회자의 정체성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사례연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로서 참여자들의 정체성 형성과정을 보여주는 6개의 영역을 도출하였다. 6개의 영역은 ‘상담 학업과 수련을 결심함’, ‘발달과정에서 장애물을 만남’, ‘장애물 극복을 위해 노력함’, ‘전문상담 수련 과정에서 개인과 목회자로서 치유와 성장을 경험함’, ‘전문상담 목회자로서의 장점을 인식함’, ‘전문상담 목회자로서 소명을 인식하고 정체성을 형성함’이다. 6개의 영역은 비교적 순차적으로 나타났지만, ‘상담수련 과정에서 개인과 목회자로서 치유와 성장을 경험함’과 ‘전문상담 목회자로서의 장점을 인식함’은 ‘장애물 극복’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자원 영역으로 확인되었다. 참여자들은 목회와 전문상담을 ‘병행’할 때 상호보완적일 수 있다고 판단하고, ‘목회자’ 정체성을 중심에 두고, 상담사의 정체성을 보완하고 확장하여 ‘전문상담 병행 목회자’라는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전문상담 병행 목회자들의 정체성 형성과정과 그 특성을 밝혔다는 데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dentity formation process of professional counseling pastors an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identities they formed. The study participants are four pastors who have completed more than three years of training in the field of professional counseling and obtained credible private or national qualifications and are concurrently working as professional counselors. In order to deeply understand the identity of participants, a case study method was used, and as a result of this study, six areas were derived that show the identity formation process of the participants. Through this study, we found that the participants centered their identity as ‘pastors’ and supplemented and expanded their identity as counselors to form a new identity called ‘pastors in parallel with professional counseling’.

Ⅰ. 서론

II. 선행연구 고찰

III. 연구방법

IV. 연구 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