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유아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정서지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DOI : 10.55450/hilas.2024.11.2.129
  • 2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및 어린이집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유아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정서지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S시, I시 및 G도에 소재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3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9.0을 이용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정서지능은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사회적 지지는 상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기 위한 전략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among kindergarten and daycare teacher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32 early childhood teachers employed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S City, I City, and G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SPSS 29.0.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emotional intelligence,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Second,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while social support did not show a significant relative influe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training programs aimed at enhancing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establishing strategies to improve teacher-child interaction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