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소비자주의 정체성 발현 양태를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그에 대응한 교양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소비자주의 정체성’ 이란 소비를 통해 형성되고 소비를 이끄는 자의식으로써, 자신을 소비자 위치에 놓고 모든 사안을 소비 논리로 평가하도록 한다. 이 연구는 소비자주의 정체성을 자격 적합성, 등가 교환의 정의, 피해자성으로 나눈 후, 그 의미와 문제를 진단한다. 연구 결과, 자격 적합성의 집요한 탐문은 정당한 권리 행사를 자격 문제로 격하하고 왜곡된 경쟁 구도를 용인하게 만든다. 등가 교환의 정의는 능력주의와 성과주의로 학력주의를 강화한다. 등가 교환의 정의가 무너지면서 본인이 손해를 봤다는 피해자성은 가해자와 피해자의 구분을 흐린다. 이로부터 교양교육은 자신의 가치에 자긍심을 갖게 해줄 강한 자아를 만드는 데 힘써야 한다. 더불어 타인과의 평등한 관계 및 열린 소통을 이끌고, 대안 사회의 구상을 위해 ‘사회적인 것’의 가치와 행동 원리, 제도를 확립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expression of consumerism identity of college students and to seek the direc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response. Consumerism identity is self-consciousness that is formed through consumption and placing oneself in the position of consumers and evaluating all issues with consumption logic. This study analyzes the meaning and problem of consumerism identity by dividing it into qualification suitability, justice of equivalent exchange, victimhoo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ersistent inquiry into qualification suitability downgrades legitimate exercise of rights to a qualification issue and tolerates a distorted structure hidden in the qualification acquisition process. The justice of equivalence exchange reinforces academicism with meritocracy. As the justice of equivalence exchange collapse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perpetrator and the victim is distorted. From this, liberal arts education should create a strong self that will give pride to one's value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leads to equal relations with others and open communication, and establishes the values, behavioral principles, and systems of 'the social' for alternative society.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
Ⅲ. 대학생의 소비자주의 정체성 발현 양태
Ⅳ. 결론
참 고 문 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