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영유아의 놀이성 관련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난 15년간(2009~2023년) 국내 주요 학술지를 통해 발표된 총 224편의 논문에 대해 출판시기, 연구방법, 연구주제, 연구주제 별 연구결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관련 논문 수는 2009년부터 2011년까지는 비교적 소수의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2012년 이후 연구의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 중 연구유형의 경우, 대부분의 연구가 양적연구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대상의 경우, 유아를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분석방법의 경우, 양적 분석이 가장 많이 수행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상관분석이 가장 많았다. 연구주제는 6개 범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영유아 놀이성이 영유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가장 높은 비중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주제 별 변인 결과와 주요연구결과를 분석한 후 후속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research trends related to playfulness in early childhood. To achieve this, a total of 224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over the past 15 years (2009–2023) were analyzed, focusing on publication period, research methods, research topics, and results according to each topic.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number of related studies was relatively low from 2009 to 2011 but showed a notable increase from 2012 onwards.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quantitative research was the most common approach, with the majority of studies focusing on young children. Regarding data analysis, quantitative methods, particularly correlation analysis, were most frequently used. The research topics were categorized into six areas, with the effects of playfulness on early childhood development emerging as the most prominent focus. Finally, based on the analysis of key research outcomes and variables across topic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posed.
Ⅰ. 서 론
II.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