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대학생이 지각한 창의적 학교환경과 미래창의융합역량 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력의 매개효과 검증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Perceived Creative School Environment and Future Creative Confluence Competence

DOI : 10.55450/hilas.2024.11.2.229
  • 26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창의적 학교환경과 미래창의융합역량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력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자료는 서울 소재 S대학교 학생 35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도구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전체 358명 가운데 남학생은 165명, 여학생은 193명이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Hayes(2022)의 Process Macro(Model 4)를 사용하여 시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이 지각한 창의적 학교환경과 미래창의융합역량, 자기주도학습력의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자기주도학습력은 창의적 학교환경과 미래 창의융합역량의 관계를 부분매개하였다. 특히, 자기주도학습력의 하위변인 중 행동적 영역을 제외하고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은 창의적 학교환경과 미래 창의융합역량의 관계를 부분매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perceived creative school environment and future creative confluence compete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from 358 students at S University in Seoul. Of the total 358 students, 165 were boys and 193 were girls.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conducted using Hayes' (2022) Process Macro (Model 4).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university students' perceived creative school environment and their future creative confluence competence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eco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school environment and future creative confluence competence.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IV. 논의 및 시사점

참 고 문 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