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PBL 적용 대학 글쓰기 수업 사례 연구

A Case Study for Implenmenting Problem/Project Based Learning(PBL) on Writing Classes in College

DOI : 10.55450/hilas.2024.11.2.255
  • 32

본 연구는 대학 글쓰기 강좌에서 PBL를 적용한 수업을 설계하여 운영한 후, 그 사례를 제시‧분석함으로써 교육적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수업은 PBL 학습의 의미를 개괄한 후 수업 목표와 계획을 설정하여 진행하였다. 후반부 7주간 운영되었으며, 과정은 PBL 사전연습 – 문제제시·분석 – 과제 수행 계획 수립 – 자료수집 – 예비안 설정·수정 – 최종 해결안 발표의 순서로 이루어졌다. 산출된 결과물들을 검토한 결과, ‘자기 주도 문제해결력 강화’, ‘협력 및 의사소통역량 함양’, ‘학술적 글쓰기 이해 증진’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개선 방안도 요구되었다. 첫째, 학습자의 적극적인 팀 활동을 위해 상대평가 제도를 유연하게 적용시켜야 한다. 둘째, 원활한 PBL 운영을 위해 학습자 수를 제한해야 한다. 셋째, 다양한 교수법의 활용을 위해 교·강사의 강의평가 역시 유연하게 적용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implement a course that incorporates problem/project-based learning(PBL) in a writing class within a liberal arts course at a university. The study was conducted by briefly examining the importance of PBL in the university curriculum and setting class goals and plans for PBL operation. The PBL process consisted of the following sequence: PBL pre-practice - problem presentation and analysis - task implementation plan design - data collection - preliminary plan design and modification - final solution presentation.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outputs, we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strengthening self-directed problem-solving skills', 'enhancing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and 'improving understanding of academic writing'. In addition, improvement measures were requested. First, the relative evaluation system should be applied flexibly to allow learners to actively work in teams. Second, the number of learners should be limited to a certain extent for smooth PBL. Third, the teaching evaluation of teachers and instructors should be applied flexibly to actively utilize various teaching methods. This study needs to be continuously supplemented in the future, which will help to form a classroom model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PBL in the educational field.

Ⅰ. 서 론

Ⅱ. PBL을 활용한 글쓰기 수업의 실제

Ⅲ.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