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교양 글쓰기 수업의 학습 체계가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H대학 사례 연구

The Effect of the Learning System of College Liberal Arts Writing Classes on Academic Achievement: A Case Study of H University

DOI : 10.55450/hilas.2024.11.2.327
  • 5

이 연구는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학습 체계가 글쓰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사례 연구이다. 글쓰기 수업의 학습 체계가 학습자의 글쓰기 능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빅데이터 기반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1, 2학기 교양 글쓰기 과목을 대상으로 학습 체계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산 분석을 통해 학습 체계가 학습자의 글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다중 회귀 분석을 통해 학습 체계의 하위 구성 요소가 글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글쓰기 수업의 학습 체계는 1, 2학기 모두에서 일관되게 학습자의 글쓰기 능력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하위 구성 요소 중 퀴즈가 가장 큰 영향력을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효과적인 글쓰기 학습 체계 설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order to improve writing skills in college liberal arts writing classes, the learning system must be designed effectively. However, there is little big data-based research on whether the learning system of writing classes improves learners' writing skill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impact of the writing learning system on learners' achievement based on big data. This study targets liberal arts writing subjects in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respectively. The effect of the learning system on the learner's writing ability was verified through analysis of variance. Seco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sub-components of the learning system on the writing ability.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learning system of writing classes contributes to improving learners' writing skills. These results were consistent in both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confirming that the learning system contributes to learners' writing skills. And among the sub-components of the learning system, quizzes appeared to be the most influential sub-component throughout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contents of the learning system when effectively designing a writing learning system.

Ⅰ.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