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창조적 공유지로서의 ‘경성 문학공간 아카이브 모델’ 연구: 일제강점기 소설문학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Gyeongseong Literary Space Archive model’ as a creative commons - Focusing on Novel Literatur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DOI : 10.55450/hilas.2024.11.2.355
  • 28

이 연구는 일제강점기 경성을 배경으로 하는 소설작품에서 수집한 ‘문학공간 에피소드’와 ‘관련 자료’를 아카이브와 문학지도로 구축하여, 연구자·창작자·전문가·일반인들이 활용·보완하며 협업하는 ‘창조적 공유지’로서 역할하는 ‘경성 문학공간 아카이브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작업을 위해 미디어 위키(MediaWiki)와 구글맵(Google Map): 내 지도를 디지털 도구로 선택하였으며, 단편소설 10편을 기반으로 ‘경성 문학공간 아카이브’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토타입에 대한 전문가 심층면접 결과를 종합하여 아카이브를 창조적 공유지로 성장시키는 디자인을 도출·분석하였다. 경성 문학공간 아카이브는 창작자와 연구자, 전문가와 문학 독자 등의 문학 수용자들이 문학공간애서 작품 텍스트와 관련 자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능동적이며 집합적이고 협업적으로 의미를 구성하는 창조적 공유지로서 역할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Gyeongseong Literary Space Archive Model’ that serves as a ‘creative commons’ where researchers, creators, experts, and the general public can utilize, supplement, and collaborate by constructing ‘literary space episodes’ and ‘related materials’ collected from novels set in Gyeongseo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archives and literary maps. For this work, MediaWiki and Google Map: My Map were selected as digital tools, and a prototype of the ‘Gyeongseong Literary Space Archive’ was developed based on 10 short stories.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on this prototype were synthesized to derive and analyze a design that develops the archive into a creative commons. The Gyeongseong Literary Space Archive can serve as a creative commons where literary users such as creators, researchers, experts, and literature readers actively, collectively, and collaboratively construct meaning through interactions with texts and related materials in a literary space.

Ⅰ. 서 론

Ⅱ. 선행 연구와 이론적 논의

Ⅲ.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