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중년기 성인의 자기결정적 고독동기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 적극적 대처와 걱정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ed Solitude Motiva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Mid-life: The Mediating Effects of Proactive Coping and Worry

DOI : 10.55450/hilas.2024.11.2.451
  • 8

본 연구는 중년기 성인의 자기결정적 고독동기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알아보고, 자기결정적 고독동기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적극적 대처와 걱정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성인 7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AMOS 23.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결정적 고독은 삶의 만족도, 적극적 대처, 걱정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삶의 만족도는 적극적 대처와 정적 상관을, 걱정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적극적 대처와 걱정은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적극적 대처와 걱정은 자기결정적 고독동기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결정적 고독동기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적극적 대처는 걱정을 거쳐 순차적인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년기 자기결정적 고독동기를 가진 사람들의 심리적 특성을 이해하고, 걱정이 많은 중년기 성인에게 적극적 대처를 증진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려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determined loneliness motiva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middle-age d adults, with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active coping and worry. To achieve this, an survey was conducted with 753 adults. Th 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yiel ding the following results: First, Self-determined loneliness motivatio 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with life satisfaction, acti ve coping, and worry. Additionally, life satisfaction was positively rel ated to active coping and negatively related to worry, while active c oping and worry exhibit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Second, Active coping and worry were found to fully mediate the rel 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ed loneliness motivation and life sati sfaction. Specifically, a sequential mediation effect was observed, wh erein active coping influenced worry, which in turn affected life sati sfaction. This study offers valuable insights into the psychological tr aits of middle-aged individuals with self-determined solitary motivati on.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IV. 결론 및 논의

참 고 문 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