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지역사회 거주 고령 부부의 일상생활활동 제한과 삶의 질: 사회참여의 조절효과와 부부 상호의존성

Limitation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 Couples: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and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 162
표지.PNG

목적 : 본 연구는 자기 -상대방 상호의존성 조절모형을 활용하여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고령부부의 일상생활활동 제한 정도와 삶의 질 간의 상호의존적인 연관성과 사회참여가 미치는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22년 고령화연구패널조사에 응답한 65세 이상 노인 부부 1,007쌍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결과변수는 전반적인 삶의 질, 독립변수는 기본적 및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의 제한 정도, 조절변수는 사회참여였다. 자기-상대방 상호의존성 조절모형을 사용하여 결과변수와 독립변수 사이에서 조절변수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결과 : 전체 대상자 중 남성의 평균 연령은 77.44세, 여성의 평균 연령은 73.64세였다. 남성 노인의 삶의 질은 남성 본인의 기본적 및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의 제한 정도와 부정적 연관성이 있었다. 그에 반해 여성 노인의 삶의 질은 여성 본인과 남성 배우자의 기본적 및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의 제한 정도와 부정적 연관성이 있었다. 기본적 및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제한과 삶의 질 사이에는 사회참여의 조절 효과가 없었으나 여성 노인에게 있어 사회참여는 본인과 배우자의 삶의 질과 긍정적인 연관성이 있었다. 그러나 남성 노인에게는 본인의 사회참여만 삶의 질과 긍정적인 연관성이 있었다. 결론 : 연구 결과 ,고령 부부에서 본인과 배우자의 사회참여가 일상생활활동 제한 정도와 삶의 질 간의 연관성에 조절 효과는 없었으나, 여성의 사회참여는 본인과 배우자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고령 부부의 삶의 질 향상에 사회참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사회참여를 유지하고 증진시킬 수 있는 지역사회 환경 및 지지체계 구축이 고령 부부의 지역사회 거주에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한다.

Objective :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limitation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and Quality of Life (QoL) among older couples, interdependence between spouses was considered using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Methods : Data were extracted from 1,007 older couples through a panel survey. The dependent variable was QoL,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limitations in Basic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BADL and IADL, respectively). Social participation was used as the moderating variable. The APIM moderation model was us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Results : The QoL for males was associated with limitations in their BADL and IADL, whereas that for females was associated with limitations in BADL and IADL of both themselves and their spouses. No moderating effect was observed in terms of social participation, and the social participation of female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QoL of both themselves and their spouses. In older males, social participation was solely associated with their own QoL. Conclusion : Study findings indicate the importance of social participation in improving the QoL of older couples and suggest that creating supportive community environments that encourage social participation is necessary to enable older couples to continue living in their communitie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