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생 가뭄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기상학적 요인과 식생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고, 기상 변화에 따른 식생 반응을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상관성 분석을 기반으로 식생상태지수(VCI, Vegetation Condition Index)(즉, 식생의 수분 스트레스)와 열상태지수(TCI, Temperature Condition Index)(즉, 식생의 온도 스트레스)의 상대적 기여도를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계산된 식생건강지수들(VHIs, Vegetation Health Indices)을 도입하였다. 이를 통해 낙동강 유역 식생의 활동에 대한 기상학적 가뭄의 영향을 가장 잘 설명하는 최적 VHI(VHIopt, optimal VHI)가 제시되었다. VHIopt를 이용하여 기상학적 가뭄이 식생에 미치는 영향을 모니터링하는 생태가뭄상태지수(EDCI, Ecological Drought Condition Index)-VHIopt가 제안되었다. EDCI-VHIopt는 표준강수지수(SPI,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와 VHIopt 사이의 copula 기반 결합 확률 모델을 기반으로 계산되었으며, 이는 기상학적 가뭄에 따른 식생 반응을 정량적으로 평가한다. 그 결과, 낙동강 유역에서의 VCI와 TCI의 상대적 기여도는 월별 및 픽셀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EDCI-VHIopt는 시공간적으로 다르게 나타나는 기상학적 가뭄에 따른 식생 반응에 대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기상학적 가뭄에 따른 식생 반응에 대해 이해하고, 기상학적 가뭄으로 인한 식생 건강성 악화에 대처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o assess vegetation drough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eteorological factors and vegetation, and to accurately measure vegetation response to meteorological changes. This study introduced VHIs(Vegetation Health Indices) calculated by applying various weights to assess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VCI(Vegetation Condition Index(i.e. water stress of vegetation) and TCI(Temperature Condition Index)(i.e. temperature stress of vegetation) based on correlation analysis. Through this, the VHIopt(optimal VHI) that best explains the effects of meteorological drought on vegetation activity in the Nakdong River basin has been presented. The EDCI(Ecological Drought Condition Index)-VHIopt was proposed, which uses VHIopt to monitor the effects of meteorological drought on vegetation. EDCI-VHIopt is calculated based on a copula-based joint probability model between SPI(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and VHIopt, which quantitatively assesses vegetation response to meteorological drought. As a result,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VCI and TCI in the Nakdong River basin varied from month to month and pixel to pixel. The proposed EDCI-VHIopt in this study showed that it can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vegetation response to spatiotemporally varying meteorological drought. This study can be used as a tool to understand vegetation responses to meteorological drought and provide a basis for addressing the deterioration of vegetation health due to meteorological drought.
1. 서 론
2. 자료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