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낙동강수계 남강 유역에 있는 시설재배 지역으로부터의 장기 수질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하여 다변량 통계 분석을 통해 낙동강 본류에서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남강 유역은 많은 시설재배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곳으로서 재배에 사용되고 버려지는 폐양액은 하천의 수질에 많은 악영향을 미친다. 다변량 통계분석 결과, 지천의 주요 오염원으로서 유기물질 및 영양물질의 영향이 높게 나타났다. 본류에 대한 지류 영향분석을 위하여 유달부하량을 산정한 결과, T-N과 T-P의 영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계절별로 영향이 미치는 항목에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하천에서의 효과적인 수질관리를 위해서는 오염원 및 계절성 등 지류 특성을 고려한 대책이 필요하며 통계기법을 통한 대책은 향후 수질관리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in the main stream of the Nakdong River through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using long-term water quality monitoring data from facility cultivation areas in the Namgang basin of the Nakdong River basin. The Namgang River Basin is a place where many facility cultivation activities are actively carried out, and the waste nutrient solution used for cultivation and discarded has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he water quality of the river. The results of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organic matter and nutrients had a high impact as the main sources of pollution in the stream.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tributary load to analyze the impact of tributaries on the main stream, the impact of T-N and T-P was the highest,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items affected by season. Therefore, in order to effectively manage water quality in rivers, measures that take into account tributary characteristics such as pollution sources and seasonality are necessary, and measures using statistical techniques are believed to be useful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in the future.
1. 서 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결 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