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음악교육연구 53권4호_표지_앞면(1213).jpg
SCOPUS 학술저널

2022 개정 초등학교 1~2학년 통합교과 교과서 ‘즐거운 생활’의 국악 내용 분석

Analysis o f Korean Traditional Music C ontent i n ‘Pleasant L ife’, the 2022 Revised Integrated Textbook for 1st and 2n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DOI : 10.30775/KMES.53.4.133
  • 36

본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교육과정 기반 초등학교 1~2학년 통합교과 교과서에 수록된 국악 제재곡의 양상을 살펴본 후 내용 적합성을 논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2 개정 초등학교 1~2학년 통합교과 교과서를 개관하고, ’즐거운 생활‘에 수록된 국악 제재곡 전반의 특징과 양상을 분석하였다. 또한, 각 학년의 주제별 교과서와 국악 제재곡 간 내용 연계성, 악곡 선정의 적정성 등의 두 가지 측면을 분석하고 적합성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국악은 학생들의 문화적 정체성 형성과 예술적 경험을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교과서 내에서는 제재곡이 주제와 연계되지 않거나 부수적인 활동으로만 활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제재곡 선정의 적절성 문제가 있었다. 학생들의 발달 수준에 맞지 않는 어려운 악곡과 주제와 무관한 곡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셋째, 국악 제재곡의 다양성 부족과 내용의 오류도 다수 지적되었다. 마지막으로 음악교육 자체가 부수적 역할에 머물고 있다는 한계가 드러났다. 개선 방안으로는 주제와 연계된 국악 제재곡의 활용 방안을 마련하고, 학생들의 발달 수준에 맞는 곡을 선정하며, 다양한 국악 장르와 악곡을 균형 있게 편성하여 국악 교육의 폭과 깊이의 확장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ttern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gugak) selections in the 2022 revis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for grades 1-2 integrated subjects and discuss their content appropriateness. To achieve this, we reviewed the 2022 revised elementary school integrated curriculum for grades 1-2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gugak pieces included in the “Pleasant Life“ (Jeulgeoun Saenghwal) section. We also analyzed two aspects: the content linkage between the curriculum themes and gugak pieces, and the appropriateness of song selec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ile gugak plays an important role in fostering students’ cultural identity and artistic experience, it was often not well integrated with the themes of the textbook or was used merely for supplementary activities. Second, there were issues with the appropriateness of song selection. Many pieces were either too difficult for the developmental level of the students or irrelevant to the curriculum themes. Third, the lack of diversity in the gugak pieces and the presence of content errors were also identified. Finally, it became apparent that music education was primarily positioned as a supplementary subject within the curriculum. To address these issues, the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improvements: using gugak pieces that are more closely aligned with the curriculum themes, selecting songs that are developmentally appropriate for students, and including a more balanced range of gugak genres and compositions to broaden and deepen gugak education.

Ⅰ. 머리말

Ⅱ. 2022 개정 교육과정 통합교과 교과서 개관

Ⅲ. 통합교과 교과서의 국악 제재곡 양상 분석

Ⅳ. 주제별 교과서의 국악 내용 적합성 논의

Ⅴ. 맺음말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