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즉흥연주와 관련된 국내 음악 교육 분야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91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논문 유형, 출판 연도, 연구 주제, 주제어, 연구 대상, 연구 방법의 6가지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즉흥연주 지도 및 학습 방안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연구 방법에서는 문헌 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양적 및 질적 연구는 부족하였다. 이에 중⋅고등학생과 전공생 대상 연구, 교사의 즉흥연주 경험을 반영한 연구, 즉흥연주 평가 도구 개발 연구, 에듀테크 활용 연구, 그리고 양적 및 질적 자료를 활용한 연구의 확대 등을 제안하여 연구 대상, 연구 주제, 연구 방법의 측면에서 보다 다양한 논의들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제안들을 토대로 즉흥연주 교육과 관련 연구의 질적 향상을 기대해본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search trends in music education related to improvisation in Korea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91 papers based on six criteria: type of paper, publication year, research topic, keywords,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methods. The analysis revealed that studies focusing on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improvisation targe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predominant. A literature review was the most commonly used research method, whil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were relatively scarce. Therefore, the study suggests expanding research to include subjects such a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music majors, studies reflecting teachers' experiences with improvisati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s for improvisation, the use of Edutech, and the increased use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These proposals emphasize the need for more diverse discussions regarding research subjects, topics, and methods. Based on these suggestions, it is hoped that the quality of research related to improvisation in music education will improve.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
Ⅳ. Research Trends in Music Education Related to Improvisation
Ⅴ. Conclusion & Suggestion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