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음악교육연구 53권4호_표지_앞면(1213).jpg
SCOPUS 학술저널

음악감상활동 기반 교양수업 참여 대학생의 학습몰입 및 지속에 관한 연구

A Study of Learning Flow and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in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a Music Appreciation Activity-Based Liberal Arts Classes

DOI : 10.30775/KMES.53.4.275
  • 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음악 교양교육의 내실화 및 질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국내 A 지역 4년제 A 대학교에서 감상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음악 교양수업에 참여 경험이 있는 남녀대학생 총 183명으로, 음악학습의 몰입 및 지속의도에의 효과 예측 요인으로, 감상활동, 정서적 공감력, 긍정감정, 수업 참여도 및 만족도 요인을 중심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분석결과, 첫째, 대학생들의 음악 감상활동 시간, 음악 관람활동 연중 횟수, 타자 지향 정서, 주관적 경험, 개별적 참여는 학습 몰입도에 의미 있는 정적 유의성을 보였다. 둘째, 학생들의 개별적 참여와 교수자 및 학습평가 만족은 학습 지속의도에 유의미한 정적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교양 음악학습의 성과를 위한 교수 전략 개발 및 지원시스템 강화, 네트워크를 통한 소통 및 공감 등 다각적 관점에서 실천적 교육의 지속적 논의와 연구를 제안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mplications for the internalization and quality of university music liberal arts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 total of 183 male and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who had participated in an appreciation-based music liberal arts class at a four-year university in Region A, Korea, and participan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appreciation activity, emotional empathy, positive emotions, class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factors that can have an effect on music learning flow and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Results of the study, First, time spent appreciation to music, number of music viewing activities per year, other-oriented emotion, subjective experience, and individual involvement were positively significant for learning flow. Second, individual engagement, satisfaction with instructors and assessment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static effect on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I propose continued discussion and research on practical education from various perspectives,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teaching strategies for liberal arts music learning outcomes, strengthening of support systems, and network-based communication and empathy.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로딩중